IT이야기2017. 2. 23. 12:09

집에 거실 TV에 물려있는 것이 인텔 J1900인데, FULL HD도 문제없이 잘 재생하고 전기도 안먹고 참 좋은데, 토렌토 여러개 받으면서 FHD볼때 가끔씩 버벅거림이 있음. 년말에 블랙프라이데이때 업글한번 해줘야 할듯. 전기 거의 안먹는거 보면 J1900도 진짜 잘 뽑아놓은것 같음. 인텔은 하나 잘 뽑아놓고 5년씩 울거먹는거... 좀 고쳐야...

Intel Celeron J1900 @ 1.99GHz vs Intel Pentium G4560 3.5GHz

-----------------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7. 1. 24. 02:51

진짜 죽이네요. 아주 어마어마한 사진입니다. 여러개의 사진을 붙여서 만들어 놓은것인데, 더 놀라운것은 얼마나 automation을 잘해놨는지 금방 publish할수 있다는것에 놀랐습니다. 예전에도 이런 사진 많았는데 아주 노가다의 산물이었거든요.

자세히 보니 secret agent등 얼굴이 공개되면 안되는 사람들은 손으로 blur하게 처리는 했네요. 빨리 만들어서 없애거나 blur하게는 하는것 같습니다.


---------------------

http://www.cnn.com/interactive/2017/01/politics/trump-inauguration-gigapixel/

취임식 장면을 서치해보니, 카메라가 생각보다 DSLR이 아니고 작은 똑딱이들의 조합라고 보여지네요.


---------------------

London Panorama picture

http://btlondon2012.co.uk/pano.html

https://petapixel.com/2013/02/21/bt-towers-320-gigapixel-london-panorama-breaks-records/

---------------------

2009년 오바마 취임식 360 사진

http://gigapan.com/gigapans/17217

---------------------


알프스 사진

http://www.cnn.com/2015/06/01/travel/worlds-largest-photo-mont-blanc-feat/index.html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7. 1. 10. 06:53

트럼프가 당선되고 많은 분야가 변화를 맞고 있지만 이민정책중 IT산업에 민감한 문제인 H1B도 변화를 겪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는 1년에 85000개를 발행할수 있으나 3배수 이상의 지원자가 있어서 로터리로 1/3만 받고 있는 실적입니다.

미국에 오려면 비자가 필요하고 비자를 얻기위해서 가장 쉬운방법이 학교에 가서 졸업하고 취직을 하는 것인데 미국 유학생은 중국, 인도, 한국 순으로 많습니다. 그런데 인도가 H1B를 매해 가장 많이 가져갑니다. 여러 문제가 있는데 인도는 IT쪽 전공하는 사람이 어느 나라보다도 많고, 인도계 인력회사로 부터 엄청난 양의 H1B접수됩니다. 심지어 한사람이 여러개를 지원한다고도 알려져있지요.

트럼프가 비교적 미국인들과 겹치지 않는 이 분야를 건들것 같지 않았는데, 아무래도 중국과 인도의 이민을 저지한다는 면에서 변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숫자를 줄이고 나라별 쿼터를 만드는 것도 얘기가 되는것 같습니다. H1B의 최소 연봉도 적어서 아무나 들어오지 못하게 막자는 얘기도 있다고 하네요.

---------------------

Why A Trump Crackdown on Visa Programs Could Benefit Foreign Students

http://www.forbes.com/sites/xiangwang/2016/12/01/why-a-trump-crackdown-on-visa-programs-could-benefit-foreign-students/#563cc00c8b4b

---------------------

Will Trump Kill the H-1B Visa Program?

http://insights.dice.com/2016/11/30/trump-kill-h1b-program/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7. 1. 7. 08:06

유료 Version control계의 잘 나가는 Perforce가 Seapine을 인수했네요. 헐~

무료계에서는 SVN, Git등이 인기라 돈주고 쓸필요까지 있나싶은 분들도 있겠지만. 예전에는 유료계에서는 ClearCase가 짱이다 할때도 있었죠.

----------------

Perforce acquires ALM provider Seapine Software

http://sdtimes.com/perforce-acquires-alm-provider-seapine-software/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6. 8. 9. 15:06

저는 게임을 자주 하지 않지만 lightroom/photoshop, 오디오편집, 비디오편집은 자주하는 편입니다. hw acceleration(GPU)를 쓰면 확실히 리스폰스나 rendering시간이 줄어들어서 좋은 비디오카드가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지요. 업그레이드를 고려하고 있는데 상당히 갈등중입니다. 아무래도 desktop이 같은 값이면 빠르지요. 그런데 항상 집에서만 해야하니까 빠른게 별다른 의미가 없어집니다. 잘때 걸어놓고 자면 되니까요.


노트북의 장점은 들고 회사에 가서 좀하다가 걸어놓으면 된다는 점도 있습니다. 속도는 반으로 줄지만 이동성이 좋아서 아웃풋을 공유하게되면 더 빨리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desktop은 집에와서 올리던지 해야하니까요.

--------------------

비슷한 가격대에 시스템을 비교해보면 그래픽 카드로는 nVidia Geforce GTX 980m과 GTX 1070으로 비교가 됩니다. 게임을 거의 안한다는 가정에서는 노트북이 맞는것 같지만 새로나온 재품이 땡기기도 합니다.

비디오카드 벤치마크를 보면. http://www.videocardbenchmark.net/


--------------------

CUDA programming까지 생각한다면 AMD Radeon은 고려의 대상도 안되네요.

GTX 980m의 CUDA 코어수는 1536이라고 하네요.

http://www.geforce.com/hardware/notebook-gpus/geforce-gtx-980m/specifications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6. 8. 9. 08:48

임백준 작가의 '실리콘앨리의 반격'이라는 글을 보고 찾아보고 깜짝놀랐습니다. 뉴욕이 실리콘 밸리처럼 많은 스타트업이 생기고 있는 곳은 이미 여러 채널을 통해서 알려진 사실이고 같이 일하던 젊은 친구도 좋은 오퍼를 받고 가기도 했습니다.


놀란것은 Digital New York City라는 사이트 인데요. 실리콘 앨리에서 일어나는 모든것을 찾을수 있는 포털이라고 해야할까요? startup 기업들도 여기에 리스트되고 job도 나오고요, 지도 정보도 한군데 모여있습니다. 투자자들도 연결시켜 주고 이 지역에서 하는 event도 일목요연하게 모아놨네요.


이렇게 도와주는데 잘 안되는게 어려울것 같습니다.


한국 사람들이 잘 모르는 문제하나, 뉴욕시티는 미국에서 가장 세금이 높은 지역입니다. 월급 받아보면 아마 놀라자빠질 겁니다. 이건 함정이지요. 실리콘 밸리도 그렇고 실리콘 앨리도 좀 저렴한 지역에 대규모 단지를 만들면 참 좋을텐데 말이죠.

----------------

실리콘앨리의 반격

http://www.zdnet.co.kr/column/column_view.asp?artice_id=20160808075044


----------------

http://www.digital.nyc/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6. 8. 9. 08:31

마켓에서 download받는 것이 아니라 unknown source로 부터 설치해야 이 취약점을 이용할수 있는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하지만 900M대(9억대)나 이 문제를 가지고 있다니 최신폰 아니고서야 패치 안하는 사람이 더 많을텐데 우리가 살아있는안 이 구멍을 이용할수 있을것 같네요.


퀄컴이 안드로이드 쪽에서 독보적이어서 쉽게 드러나는 것도 있지만, 퀄컴이 안드로이드에 큰 구멍으로 보이는 것은 저만 그런가요? 에라이~


보안이 중요한 사람들은 아이폰, iOS로 가는게 너무 당연하고 그렇지 않는 사람들은 너무 바보스럽게 보이겠습니다.

----------------

http://www.zdnet.com/article/quadrooter-security-flaws-affect-over-900-million-android-phones/

All versions of Android are vulnerable to these flaws, which won't be fully patched until the September security release next month.

Google's Nexus 5X, Nexus 6, and Nexus 6P, HTC's One M9 and HTC 10, and Samsung's Galaxy S7 and S7 Edge are some of those named vulnerable to one or more of the flaws.


----------------

안드로이드 전버전에 허점…"보안 비상"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60808102142&lo=z35

---------------


1. CVE-2016-2503 discovered in Qualcomm's GPU driver and fixed in Google's Android Security Bulletin for July 2016. 
2. CVE-2016-2504 found in Qualcomm GPU driver and fixed in Google's Android Security Bulletin for August 2016. 
3. CVE-2016-2059 found in Qualcomm kernel module and fixed in April, though patch status is unknown. 
4. CVE-2016-5340 presented in Qualcomm GPU driver and fixed, but patch status unknown.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6. 7. 16. 06:15

진경준, 넥슨에서 돈 받아 비상장 주식을 사고 시세차익을 120억 넘게 남기고도 아무일 없이 넘어갈뻔 했으나, 그래도 개돼지는 그냥 모를거라 생각했을수 있겠지만, 사람들이 점점더 많이 알아가니 몇억정도 좀 먹었다고 정도로 넘어가려고 하는것 같네. 이렇게 술술 인정하고 언론에 풀어내는 것보면.

제네시스를 달라고 했다고 하질 않나, 처남까지 동원해서 청소용역도 따주고, 헐~ 이런것까지 까는것 보면 강하게 조사하는 느낌도 있고.

차익을 범죄수익으로 인정하면 몰수 할수 있다지만, 정말 검찰이 자기 형님을 그렇게까지 하지는 않겠지. 2-3년 때리고 얼마 안살다 나와서 잘먹고 잘살지 않을까?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기소하기 전에 강력하게 나오늘것 같은데... 그래도 혹시나 일잘할수도 있어 한번 지켜보련다.

뇌물 준 김정주도 면죄부를 줘서는 안되겠지, 설마 진경준이에게만 줬을까. 사회 전반에 이런 안정장치를 마련해 줬을게 뻔한데 이번에 돌여내야할텐데.

------------------


------------------

진경준 구속영장..넥슨 주식·차량·처남 일감 몰아주기"진경준이 먼저 제네시스 요구"진경준 내사 종결 조양호 의혹' 당시 수사라인 조사 불가피진경준 검사장 뇌물죄 적용..뒤숭숭한 넥슨·네이버
------------------진경준 영장.. 한진의 청소 용역 134억도 뇌물에 포함법조계 관계자들은 진 검사장이 처남 명의의 청소 용역회사를 통해 따낸 한진그룹의 일감 134억원에 대해서도 제3자 뇌물죄가 인정된다면 이 역시 공무원 범죄에 관한 몰수 특례법이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다만 몰수 대상 금액은 따낸 일감 전액은 아니고, 청소 용역 근로자들에게 지급된 임금과 필수 운영비는 제외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진 검사장과 처남 등이 공모한 것으로 드러난다면 처남이 받아간 월급 등도 몰수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6. 7. 14. 03:53

애플이 제품만 잘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생태계를 잘 만들어서 들어오면 빠져나갈수 없고 자꾸 애플 제품만을 사게하는 기술로 지금의 자리에 있는 것이지요. 삼성은 그것 못해서 죽어라고 HW만 만들고, 잘 팔아도 맨날 위기라고 하는 것이고요.


그래픽 세상에서 기술력도 중요하지만 이런 생태계를 아직 만는 기업이 없어서 주구장장 치킨게임만 하다가 NVidia가 CUDA라는 GPU API이자 생태계를 만들었는데, 애플처럼 이미 게임의 판도를 업은것 같습니다. AMD-ATI가 이미 죽은 기업으로 돈도없고 투자할 여력도 안되는 입장에서 절대 따라갈수 없는 상황이 된것이지요.


게임하려면 DirectX, OpenGL, OpenCL 지원 GPU를 찾기 마련이지요. 게임만 하려면 새로 나온 GPU중에 적당한 가격만 고르면 AMD던 NVidia든 큰 차이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게임 이상의 뭔가 더를 원한다면 이제 CUDA 지원 레벨까지 check하게 됩니다. 당연히 CUDA는 NVidia만 지원하지요. CUDA encoder/encoder는 다른 스탠다드 encoder/encoder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강력합니다. 헐, 그래서 영상 편집, 사진 편집 system은 CUDA 지원 HW/SW가 아주 절실합니다. 학교나 과학자를 위해서도 CUDA는 아주 중요하지요.


요즘 핫한 AI(인공지능)과 machine learning을 위한 환경에서 CUDA는 어떠한 platform보다 우수합니다. 헐~ 물론 이런 쪽은 전문가들과 전공자들을 위한 것이라서 수요가 얼마나 될까하지만,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사람까지 생겨나는거 보면 이미 AMD는 따라올수 없는 상황이 된것 같습니다.

---------------------

https://developer.nvidia.com/cuda-zone



---------------------

그런데 CUDA가 배우기가 쉽지 않다는 것은 함정! C++11 먼저 배우고 오라는 불친절한 엔비디아.

The Power of C++11 in CUDA 7

---------------------

제 노트북이 가진 Nvidia Quadro K1000M은 CUDA 지원버전이 아주 불확실하네요. 지원는 하겠죠.

http://www.nvidia.com/object/quadro-for-mobile-workstations.html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6. 7. 13. 05:50

핏빗이 현재 wearable시장에서 가장 점유율도 높도 앞으로도 한동안 그럴것임에는 틀림없겠지요. 그런면에서 주식이 많이 저평가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애플이 큰 경쟁자가 될거라지만, 두 업체가 겹치는 부분이 크지 않다고 보여지지요. 더 큰 경쟁자는 중국업체들의 가격과 물량공세가 되겠지요.

현재는 Fitbit Charge HR을 사용중인데, 아주 만족중입니다. 실시간으로 Heart rate을 측정할수 있는 기계는 많지않지요. Fitbit도 정확하지 않다지만 두개의 optical sensor를  평행하게 배치해서 읽어들이는 것은 기술적으로 신의한수다 생각되고요, fitbit이 특허권을 가지고 있는것으로 보여집니다. 저가형 모델은 원할때 버튼을 누리고 10초간 가만히 있어야하는 것과는 비교가 되지요.

Fitbit은 medical device가 아니므로 현재의 오차수준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을거라 생각됩니다. 사용자가 medical device로 오인할만한 광도도 하지 않았으니까요.

----------------

PurePulse는 Surge, Blaze, Charge HR 세 기기에만 들어가 있습니다.

p

ur

Posted by 쁘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