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야기2015. 9. 26. 08:30

재밌는 Smart폰 자동화 App

IFTTT회사가 만드는 app들은 공짜이면서 응용분야가 엄청난다.

-------------

IFTTT

IF This Then That

 Top Developer

IF by IFTTT

Everyone Everyone
This app is compatible with all of your devices.


같은 회사에서 만든 IF조건이 없는 그냥 DO, 버튼을 만들어 누를때마다 실행.

 Top Developer

DO Button by IFTTT

Everyone Everyone
This app is compatible with all of your devices.

-------------

Trigger

Trigger

Everyone Everyone
Offers in-app purchases
This app is compatible with all of your devices.

-------------

Sweet Home - 집 WIFI를 잡으면 사진과 비디오를 NAS에다 backup

Sweet Home WiFi Picture Backup

Everyone Everyone
This app is compatible with all of your devices.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9. 16. 22:45

HP는 이번년에 두 회사로 분할(split)계획이 있지요. Split하기전에 가장 중요한 것은 몸집을 줄이는 것인데 HP가 이미 발표한 55,000에다가 추가고 33,300명을 layoff한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뭔 사람을 이렇게 많이 짜르나 하고 봤더니 현재 30만명이 넘는 임직원을 거느리고 있는 삼성전자보다 더 큰덩치 괴물이었네요. 어쨋거나 이렇게 큰 괴물이 30%정도 인원을 정리하게 될것 같네요.


20세기후반에 IT버블을 만들고 그 후에도 계속 승승장구하던 기업들이 나가떨어지는 것을 보면서 세상이 많이 변했구나 생각이 듭니다.


Key stats and ratios

Q3 (Jul '15)2014
Net profit margin3.37%4.50%
Operating margin4.78%6.45%
EBITD margin-11.77%
Return on average assets3.29%4.80%
Return on average equity12.73%18.57%
Employees302,000-
CDP Score-100 A



-----------------

HP to cut up to 33,300 jobs over next three years

REUTERS - Hewlett-Packard Co (HPQ.N), which plans to split into two listed companies this year, said it expected to cut about 33,300 jobs over three years as the tech pioneer adjusts to falling demand.

The latest cuts, on top of 55,000 layoffs previously announced under Chief Executive Meg Whitman, will mostly be in HP's faster-growing corporate hardware and services operations, to be spun off as Hewlett Packard Enterprise, or HPE, on Nov. 1.

The latest cuts indicate a reduction of the company's total workforce by at least 10 percent, based on its most recent number of more than 300,000 employees as of Oct. 31, 2014, and reflecting the previously announced reduction of 55,000.

Up to 30,000 of the layoffs will be in the enterprise business and up to 3,300 in HP Inc, the company that will continue to make personal computers and printers, HP said in a regulatory filing on Wednesday.

The restructuring will result in pretax charges of about $2.7 billion at HPE and $300 million at HP Inc, which has been hit hard by a relentless decline in sales of PCs.

The charges will be taken between the current quarter and the end of fiscal 2018, ending Oct. 31.

http://in.reuters.com/article/2015/09/16/hp-redundancies-idINKCN0RG0AO20150916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9. 13. 06:21

막말로 유명한 공화당 유력 대선후보 트럼프가 피오리나의 얼굴에 대한 상당히 공격적인 막말을 쏟아냈습니다. 얼굴이 이상하긴 하지요. 젊었을때 예쁜사진도 있었는데 왜 저렇게 됐을까요. 늙고 싶지 않은 탐욕이 더 괴물을 만들도 있다는 생각좀 해 봤으면.


트럼프가 대놓고 까는것 보면, 트럼프 눈에도 배울게 하나도 없는 사람이로 보이나 봅니다. 피오리나가 저 자리까지 가기까지 열심히 노력은 했을거라고 보지만 110%이상의 운발로 저기에 있다는 생각을 스스로 하고 가진것을 나누는 삶을 사는게 어떨까 하는 조언을 주고 싶습니다. 트럼프보다 나은점이 하나도 안보이네요.


HP말어먹은 전력으로도 저 위치에 있을수 있다니... 정신줄 놓은 사람들 너무 많다.



-------------------

https://ko.wikipedia.org/wiki/%ED%9C%B4%EB%A0%9B_%ED%8C%A9%EC%BB%A4%EB%93%9C

루슨트 테크놀로지의 칼리 피오리나가 HP의 CEO로 뽑힌 것은 예상 밖이었다. 피오리나가 1998년 포춘지로부터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경영인'으로 뽑힌 스타 경영인이긴 하지만, 컴퓨터 분야에 전혀 경험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CEO 선발을 책임진 HP의 이사 4명은 피오리나의 비전과 열정, 지도력에 높은 점수를 줬다. 피오리나는 특히 전술적인 목표를 세워 계획한 일이 실제로 이루어지게 하는 능력이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HP의 숨은 실력자이며 선발위원 중 한 명인 딕 핵본은 피오리나에 대해 "제2의 잭 웰치가 될 수도 있겠어"라고 말할 정도였다. 피오리나는 주요 주주들의 반대를 이겨내며 HP와 컴팩의 합병(2002년)을 성사시키는 등 HP의 부활을 주도하며 선발위원들의 기대에 부응하는듯 했다.[2]

그러나 2002년 이사회와 주주들의 강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경쟁업체인 컴팩을인수했으나 예상보다 못한 수익 부진으로 고전해왔고, 미래 전략을 둘러싼 이사회와의 이견으로 2005년 2월, 칼리 피오리나는 CEO를 사임한다.[3]

-------------------

Forget what Trump says about Fiorina's face. Her HP record is the issue

And check out the website CarlyFiorina.org. Someone had the foresight to register that domain name last December.

The site features this text: "Carly Fiorina failed to register this domain. So I'm using it to tell you how many people she laid off at Hewlett-Packard. It was this many."

That's followed by line after line of :-( sad face emoticons. By the time you finish scrolling down, there's this kicker: "That's 30,000 people she laid off. People with families."

Fiorina has already defended her time at HP on numerous occasions.

After all, she's been through this before and seems clearly prepared to tackle any tough questions about HP.

http://money.cnn.com/2015/09/10/news/companies/carly-fiorina-donald-trump-hp-hewlett-packard/index.html?iid=hp-toplead-dom


-------------------

칼라피오리나의 잘못 끼운 첫단추, 컴팩과 HP 합병 - 아이엠데이

www.iamday.net/apps/article/talk/2316/view.iamday
Translate this page
특히, 이쯤 영입 된 칼리 피오리나는 HP가 나아가야 할 비전을 제대로 설정하지 못하면서 위기의 시발점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칼리피오리나 내부 기득권을 깨부수다.

칼라 피오리나의 HP 개혁의 칼을 휘두른 결과? - 아이엠데이

www.iamday.net/apps/article/talk/2310/view.iamday
Translate this page
HP가 칼리 피오리나를 선택한 것은 당시의 HP에 비전이 없었기 때문이다. 단순하게 현실에 안주하고 시장을 유지하려는 저성장 경영의 대표적인 사례였다.

HP 피오리나 축출의 내막 – Sciencetimes

www.sciencetimes.co.kr/?news=hp-피오리나-축출의...
Translate this page
짐작컨대 피오리나는 단순히 해고를 당한 것이 아니라 탄핵을 받은 것 같다. 지난 5년반 동안 미국 실리콘밸리 신화의 최고자리에서 군림했던 HP의 회장겸 CEO 칼리 ...

HP 피오리나 회장 경영실적 부진으로 축출당해 - 오마이뉴스

www.ohmynews.com/NWS.../at_pg.aspx?...
Translate this page
OhmyNews
Feb 10, 2005 - [뉴욕=정명수 특파원] 휼렛패커드(HP) 이사회가 칼리 피오리나를 전격 축출했다. 9일 HP는 칼리 피오리나 회장 겸 CEO가 물러난다고 발표했다.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자동화 앱  (0) 2015.09.26
HP 3만명이상 추가 정리해고  (0) 2015.09.16
퀄컴이 키우는 밴쳐회사  (0) 2015.09.12
퀄컴과 인텔 주가 비교  (0) 2015.09.11
내년 스마트폰 판매량 예상  (0) 2015.09.11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9. 12. 01:13

(수정중)

--------------------

Ten Startups at Qualcomm Robotics Accelerator Make Their Big Debut

the 10 startups that comprise the first class to graduate from the Qualcomm Robotics Accelerator, powered by Techstars:

Carbon Robotics, founded last year in San Francisco, has been developing an industrial robotic arm that can be used by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for such tasks as decorating a cake (based on a design drawn on an iPad), pasting shipping labels on boxes, and using pipettes in biotech lab experiments. “It doesn’t make sense to spend $100,000 for [robotic] tools that only operate a few hours at a time,” said Rosanna Myers, a co-founder and CEO.

CtrlWorks, founded in 2011 in Singapore, has developed the Axon, a robot that resembles a submarine periscope on wheels. The Axon can be attached to carts and pallet jacks used to move material around a warehouse, and wheelchairs used to move people around airports. Co-founder and CEO Sim Kai said the innovation lies in Axon’s connection to a cloud-based navigation platform that enables the robot to find its way around any shop floor or warehouse—and enables CtrlWorks to generate recurring revenue by charging a monthly subscription fee for its software as a service.

Skysense, founded in Berlin in 2014, has created a modular “drone service station in a box” that serves as a landing pad, charging station, and on-site storage unit for multi-rotor drones. Operators also can remotely re-program drones while they are being stored in the box. Co-founder and CEO Andrea Puiatti said one of the company’s first customers is Singapore Aerospace, which requires 10 drones.

Rational Robotics, founded last year in Edmonton, Canada, has developed a robot that uses 3D scanning technology to spray-paint parts in auto body shops—“all done without human intervention and at higher quality,” according to co-founder and CEO Ashley Reddy.

Skyfront drone on exhibit at Demo Day

Skyfront drone on exhibit at Demo Day

Skyfront, founded in Hoboken, NJ, in 2014, has developed a hybrid-electric technology that converts gasoline to electricity in flight—and extends the typical 20-minute to 30-minute flight time of a battery-powered drone to four hours. Co-founder and CEO Troy Mestler said Skyfront’s lawnmower-size Tailwind drone is ideal for use in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and in scanning a “large farm the size of 1,000 football fields.”

CleverPet, founded in San Diego in 2013, has developed Internet-connected robotic technology that keeps stay-at-home pets occupied by interacting with kibble feeders and smart toys. The company has been collecting data from 1,000 CleverPet units in the field, and is targeting the estimated $7 billion a year that Americans spend every year on doggie day care. The crowd roared in laughter when co-founder and CEO Leo Trottier said, “Our user base literally has nothing better to do.”

Inova Drone was founded in San Diego last year. Co-founder and CEO Chad Amonn said the company has sharpened its focus on four technologies developed to operate its heavy-duty drone as an “aerial vision platform.” Amonn said Inova Drone’s high-performance Eagle 1 drone is ideally suited for public safety missions like wildfire spotting and surveillance and for such tasks as bridge and utility power-line inspections.

Muse Robotics, founded in Athens, Greece, in 2013, is focused on developing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that can be used across a wide variety of robots. “Standardization is the way all industries grow,” co-founder and CEO Alexandros Nikolakakis told the audience.

Solenica, founded two years ago and based in Rome, Italy, has developed Lucy, a solar-tracking mirror (which is also solar-powered) that reflects sunlight into a home or office. According to co-founder and CEO Diva Tommei, the startup team spent its time at the accelerator working mostly on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 validation, yet Solenica still sold 320 Lucys and accrued over $60,000. A complementary smartphone also measures how many lumens Lucy has delivered, and tracks electricity savings.

Reach Robotics, founded in Bristol, U.K., in 2013, is focused on the game industry. But co-founder and CEO Silas Adekunle told the audience, “The gaming landscape is changing, bringing the game out of the screen and into our world.” The startup said its crablike MekaMon is “the world’s first intelligent battle robot.” Players us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create a futuristic world around the game.

http://www.xconomy.com/san-diego/2015/09/11/ten-startups-at-qualcomm-robotics-accelerator-make-their-big-debut/2/

--------------------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9. 11. 15:11


20개월 주가 비교 그래프입니다. 인텔은 2014년에 XP지원종료에 따른 PC시장 특수를 누리느라 주가가 완전 40%가 넘게 폭등하고 있을때 Qcom은 이미 화룡소문이 돌기 시작하며 주가가 최고점을 찍고 서서히 내려오고 있었네요. 인텔도 실적이 좋지않아 2015년에 하락했지만, 퀄컴은 더 크게 하락을 했네요. 그래서 둘 사이의 주가 등락차이는 40%가까이 됩니다. 최근 모양이 인텔은 상승을 하고 있는것으로 보이고, 퀄컴은 아직 반등을 못하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Market cap이 역전되기도 했었는데 현재 2배가까이 차이가 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아직까지 월가에서는 Qcom을 좀더 가능성이 높은 주식으로 볼것으로도 같습니다.

---------------------

ValuationDividendFinancial ratiosMarginsProfileIncome statement
Company namePriceEarnings
per share
P/E ratioPrice-to-sales
ratio
Mkt CapEnterprise valueDividendCurrent ratioTotal debt to
assets
Net profit
margin
Operating
margin
EmployeesRevenueNet incomeEBITDA
QCOMQUALCOMM, Inc.55.333.6415.193.6585.35B74,923.700.484.2620.8720.2820.2331,3005,832.001,183.001,761.00
BRCMBroadcom Corporation52.461.7729.673.7531.50B29,913.300.143.1512.2718.4219.1810,6502,096.00386472
NVDANVIDIA Corporation22.580.9424.012.5911.98B8,887.970.15.9920.222.256.599,2281,153.0026218
INTCIntel Corporation29.272.3612.42.63139.01B138,371.0001.9714.6220.5121.64106,70013,195.002,706.005,267.00

---------------------

QCOM vs INTC

    



---------------------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9. 11. 00:59

스마트폰은 중국시장이 급격히 정채되며 중국 브랜드가 싹쓸이 하는 시장으로 변하고 있기떄문에 애플말고는 빨리 의존도를 줄여야 할것 같습니다. 어떤 브랜드도 애플만한 위치를 차지한 브랜드가 없기때문에 애플은 중국에서 성장률은 줄어들지 몰라도 계속 성장할수 있을것이라고 봅니다. 다른 지역에서라면 말할것도 없구요. 그런면에서 애플의 최근하락은 과도한 면이 있고 다른 업체들은 좀더 떨어져야 맞을것 같습니다.



---------------



But analysts warn that aggressive investment plans, coupled with the economic downturn in China, could lead to a supply glut in the industry, causing sharper-than-expected chip-price declines.

Faced with the new softness in smartphones, the chip industry is getting no help from PCs or tablet computers, whose global sales have already declined. Gartner in July cut its growth forecast for world-wide chip sales this year citing, among other factors, softness in China’s smartphone market.

---------------

내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5.8%↑..애플도 한자리"

中 스마트폰 브랜드는 10% 성장할 듯

(서울=연합뉴스) 옥철 기자 = 내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세가 눈에 띄게 둔화될 것이라는 시장조사기관 보고서가 나왔다.

10일 D램익스체인지 트렌드포스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출하량이 13억4천만대로 연간 성장률이 5.8%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올해 예상 성장률이 8.3%인데 내년에는 이보다 2.5%포인트 정도 성장률이 떨어질 것이란 관측이다.

트렌드포스 보고서는 "2007년 시작된 스마트폰 붐이 2015년을 마지막으로 종말을 고했다. 스마트폰 성장 트렌드는 정체 상태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애플은 아이폰6와 6플러스를 꾸준히 판매해 올해 2억2천300만대를 출하하며 16% 성장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내년에는 애플의 성장률이 올해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7.5%에 그칠 것으로 트렌드포스는 전망했다.

애플의 한자릿수 성장은 스마트폰 시장이 본격 개화한 이후 처음 예측된 것이다.

아이폰 차기작이 하드웨어 업그레이드에만 초점을 맞춘 반면 삼성이 갤럭시 노트5 시리즈를 조기 출시하고 화웨이의 메이트S, 소니의 익스페리아 Z5 프리미엄 등 경쟁 모델이 등장한 것이 아이폰 세일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떠오르는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는 시장의 약자를 도태시키는 새 라운드의 경쟁을 몰고오고 있다고 트렌드포스는 점쳤다.

중국 브랜드는 내년 최소 10% 성장률을 보이면서 총 5억7천만대 이상의 스마트폰을 세계 시장에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2분기만 봐도 세계 10대 스마트폰 벤더(공급업체) 중 7곳이 중국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는 전체 부품의 80%를 중국 외 공급업체로부터 받는다. 중국 브랜드가 여전히 스마트폰 조립 브랜드로 폄하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화웨이는 자체 공급체인에 있는 자회사 하이실리콘으로부터 스마트폰 칩을 공급받고 있다.

중국 정부는 모바일 D램 생산을 위해 전략적 투자를 독려하고 있다.

트렌드포스는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이 핵심부품 기술을 보유하게 되는 순간 가공할 만한 상황이 될 것"이라며 "중국발 '레드 서플라이 체인'이 형성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9. 6. 15:03

테슬라의 창업자로 널리 알려진 엘론 머스크, 천재인 그에게는 잘 열려지지 않은 천재인 조력가들이 많았으니 그 중하나는 킴벌 머스크(Kimbal Musk). 형인 엔런은 초기에 IT붐을 이용해서 엄청난 부를 일궜을때 그 돈으로 에너지 혁명에 눈을 돌렸지만, 25 나이에 너무나 큰 돈을 벌어버린 킴벌은 어떻게 잘먹고 잘 살것인가하는 가장 기본적인것을 뒤돌아 보게 했습니다.


그는 좋은 재료로만 써서 만든 고급식당 체인을 열었으며(부자를 타겟으로 했겠죠), 자신의 다써도 쓸수없는 돈을 kitchen community라는 non-profit단체를 만들어 학교나 지역사회에 먹거리가 얼마나 중요한 것을가를 교육하는데 쓰고 있습니다.


젊은 놈의 시끼가 벌써부터 놀고 먹는거 아니냐는 비판이 있을수도 있지만, (돈 많은 사람이 식당체인도 너무 쉬운일이고 형은 계속 혁신을 이어가는데 동생인 놈이 한참 일할나이에 non-profit이나 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가능할테니) 저소득층이나 개발이 덜된 나라의 사람들은 IT기기나 에너지 혁명은 동화속 이야기일뿐 먹고 사는것 조차 어렵고 그렇다 보니 아무거나 닥치는대로 먹다가는 결국 귀중한 생명도 잃게된다는 상당히 인도적인 발상을 가진 사람인것 같습니다.


중동지역의 난민문제도 결국 먹고사는 문제가 해결이 안되고 전쟁으로 생명까지 유지할수 없어서 이런 큰 비극이 생긴다는것을 생각할때 아직도 먹고사는 문제가 100%인 사람들이 이 지구상에는 너무 많습니다. 천재들이 잘 사라는 사람만을 위해 혁신하지 말고 불쌍하고 가난하고 백없는 사람을 위하는 천재+부자들도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P.S 돈도 계속 늘고 있는것이 형이 사업하는데 돈 필요하다고 하면 욕심없이 거기다가 투자도해서인지 IT쪽 은퇴할때보다 돈은 더 많을듯.


--------------

Kimbal Musk wants to reengineer the American stomach

Forget about energy or transportation, the other Musk brother wants to revolutionize our food.

http://money.cnn.com/video/news/2015/09/02/kimbal-musks-plan-to-disrupt-your-dinner.cnnmoney/index.html?iid=HP_Video


--------------

Kimbal Musk (born September 20, 1972) is a South African-born Canadian and American entrepreneur, venture capitalist and environmentalist who has invested in several technology and food companies. He owns The Kitchen Cafe, LLC, a family of community restaurants located in BoulderFort CollinsDenverGlendale, and Chicago.[2]

He co-founded The Kitchen Community, a 501(c)3 nonprofit that brings outdoor vegetable gardens called "Learning Gardens" to schoolyards and community spaces.[3] He sits on the boards of Tesla MotorsSpaceX, and the Deming Center for Entrepreneurship at the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The Anschutz Health and Wellness Center at theUniversity of Colorado, Denver and Chipotle Mexican Grill.[4] He is the younger brother of billionaire businessman Elon Musk.


https://en.wikipedia.org/wiki/Kimbal_Musk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9. 1. 10:36

삼성 갤럭시 핸드폰의 추락이 심상치가 않네요. 5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다고 하고요, 이는 1983년 이후 32년만에 처음 있는 일이라고 합니다. 4월부터 주가 떨어지면서 $44B(한화로 50조원정도)를 날렸다고 합니다. 이건희 회장의 부재가 이렇게 크게 나타나는 건가요? 앞으로 능력이 검증안된 이재용 경영자가 이 트렌드를 뒤집을수 있을것 같지는 않습니다.


삼성의 순이익은 5분기 연속 감소세입니다. 세계 곳곳에서 점유율이 곤두박질 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신흥시장인 중국과 인도에서 조차 힘을 못쓰고 있고, 세계 최대의 highend 시장을 가지고 있는 미국에서도 애플에 완전 밀렸지요. 9월이면 다시 아이폰의 계절이 돌아왔는데 봄과 여름에 계속 죽썼으니 다가온 가을겨울은 어떻게 버티려나요?


자존심 다 뭉게고 애플 아이폰과 똑같은 폰으로 컨셉을 잡은 것은 무너지는 제국을 천천히 무너지게 할수는 있을지 몰라도, 결국은 중국 저가폰과 다른바 봐 없다는 인식을 심어주며 결국 무너지는 추세를 돌릴수는 없을것으로 봅니다. 어차피 못돌릴것으로 봤다면야 할말 없지만, 이길 작전을 피지 못하고 천천히 지는 작전을 펼치는 책임을 이재용 부회장이 져야할것임은 자명하지요. 나중에 실패해 한다면 끝내 지 잘못 아니라고 하겠지요.




-----------------

Tepid demand for Samsung Electronics Co.’s newest Galaxy smartphones triggered a fifth straight monthly decline for the electronics maker, wiping out about $44 billion in market value since April.


Shares of the world’s biggest smartphone vendor slumped 8.1 percent this month, extending their longest losing streak since December 1983. Samsung dropped almost $12 billion of value in August alone as the South Korean company surrendered market share to Apple Inc. and Chinese competitors.

Samsung profit has fallen five straight quarters, and third-quarter net income is estimated at 5.33 trillion won ($4.5 billion), down from 5.63 trillion won in the three months ended June, according to data compiled by Bloomberg.

Samsung’s global smartphone market share fell more than 3 percentage points in the second quarter, and it no longer is the top seller in China, the world’s biggest mobile-phone market.

It is being undercut at the high end by Apple’s bigger iPhones and at the mid-range and low end of the market by devices from Xiaomi Corp., Lenovo Group Ltd. and Huawei Technologies Co.

Samsung misread demand for the S6 models released in April, failing to produce enough three-sided screens for the Edge while the regular version struggled against the iPhone.

http://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5-08-31/samsung-loses-44-billion-of-value-in-worst-streak-since-1983

-----------------

중국 핸드폰 시장이 계속 정체기를 겪을 거라는 예상입니다. 이런 시장에서는 고가시장은 크게 늘기 어렵고 중저가 위주의 사장이 되겠지요. 중국의 토종브랜드가 상당히 유리한 시장이 될것 같습니다. 삼성의 고전은 더 심해지겠지요.



-----------------

와치류를 젤 먼저 내고도 완전 말아먹은 삼성. 마켓에서 존재감 마져 살아졌네요. 이제야 애플 잡겠다고 나온것은 왠 삽질인가요? 초기의 시장을 잘 개척했으면 이제는 애플의 추격을 따돌릴려고 새로운 제품을 낸다고 해야할 판에 말이죠. 예전에는 시계 아니라며 이젠 다시 애플 따라 시계라고 하는... 이러니 또 말아먹을듯. 이것도 책임을 똑바로 물어 실패한 장수를 내보내야 할텐데, 애꿋은 엔지니어만 x됐을듯.





-----------------

'중저가폰 쇼크'..삼성, 印尼 휴대폰 시장서 1위 자리 뺏겨

카운터포인트, 2015년 2분기 시장조사 결과 발표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삼성전자가 줄곧 1위를 지켜왔던 인도네시아 휴대폰 시장에서 2위로 밀려났다. 중국 및 현지 기업과의 중저가 스마트폰 경쟁에서 밀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2분기 인도네시아 휴대폰 시장에서 16.0%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분기 21.2%로 인도 휴대폰 시장에서 1위였으나 2분기 동안 무려 5.2%포인트 점율이 하락했다. 현지 휴대폰 업체인 에버크로스가 18.5%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2015년 2분기 인도네시아 휴대폰 시장 현황(자료:카운터포인트)
2015년 2분기 인도네시아 휴대폰 시장 현황(자료:카운터포인트)

인도네시아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24.2%로 1위를 지켰으나 점유율은 크게 떨어졌다. 삼성전자는 1분기 32.9%의 점유율에서 무려 8.7%포인트 하락했다. 에버크로스가 14.3%로 2위를 차지했다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8. 31. 06:47

IOT와 Drone시장은 2017년까지 정말 미친듯이 성장할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왠만한 IT업체는 IOT와 Drone에 투자안하는 회사는 없습니다.

아직까진 소비자 용보다는 상업용이나 무기용이 대부분을 차지할것으로 예상됩니다.


-------------------

Qualcomm이 투자한 드론회사는 Skycatch and 3D Robotics.

스마트폰 칩 수요가 줄어드는 부분은 IOT/Drone/Automotive에서 매꿔주길 기대하는 것 같습니다.

새로운 칩인 S820으로도 더 많은 드론 support를 지원할것이라고 합니다. 드론업체에서 S820으로 더 좋은 제품을 많이 많들어 주면 좋겠습니다.

Qualcomm Ventures, the venture capital arm of the San Diego corporation, views the drone space as adjacent to its chip business, and has made investments in both Skycatch and drone-maker 3D Robotics, a leading consumer manufacturer in the U.S. The company's goal is to find a home for its technology inside the autonomous aerial vehicles.

"Drones are like flying smartphones," said Quinn Li, vice president of Qualcomm Ventures. "The technologies that are needed for drones or robots are technologies that we have developed for mobile devices."




-------------------

Parrot은 프랑스 파리에 있는 드론 전문회사인데, 가격이 싼 드론시장에 강자라고 합니다. 오래동안 유지해왔던 자동차관련 매출보다 드론 매출이 더 늘어났다고 합니다.


드론업체로 바꾼이후 투자금이 몰려들고 있다고 합니다. 드론 마켓 트랜드를 생각하면 당연한 결과인것 같네요.



-------------------

드론하면 빼놓을수 없는 중국 쉔젠(shenzhen) 기반의 DJI

믿어지지 않을 정도록 좋은 수준의 드론을 많이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In just a few years, SZ DJI Technology Co. has become the world’s biggest consumer drone maker by revenue, selling thousands of its 2.8-pound, square-foot devices for about $1,000 each. In the process, it also has become the first Chinese brand to pioneer a major new global consumer-product category.

DJI’s four-propeller helicopters, called Phantoms, have become icons of the burgeoning drone era: hovering, camera-equipped robots that almost anyone can pilot. Phantoms have garnered fans for their aerial footage of extreme sports, fireworks and Niagara Falls, and famous users include the actor Jamie Foxx, Apple Inc. co-founder Steve Wozniakand homemaking entrepreneur Martha Stewart.

“The DJI Phantom series is like the Model T,” said Matt Waite, a journalism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who studies drone issues and owns three Phantoms. “Back in the day, you could talk about cars, but pretty much every car on the road was one of these Model Ts.”

DJI on Wednesday plans to unveil a new high-end drone, called the Inspire.


-------------------

그냥 렌더링 하나 공개됐을 뿐인데... 소니는 소비자 시장이 아니라 무기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쪽 시장이 어마어마 하지요. 옆에 있는 나라 사람으로서 무서움이 느껴집니다.

Japanese company partners with autonomous driving startup ZMP to produce drones for surveillance, inspection and measuring

-------------------

인텔도 여러 방면으로 계속 드론 업체와 관련분야에 투자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Reuters

Intel Corp., in a new effort to sidestep the declining PC market, said its venture capital arm invested more than $60 million in a Hong Kong company that sells consumer drones. As WSJ’s Don Clark reports:

The big chip maker and Yuneec Holding Ltd. plan to collaborate on product development, and Intel chips may be incorporated into future Yuneec drones.

Intel’s move is the latest sign that Brian Krzanich, who became chief executive in May 2013, is determined to take the chip maker beyond components for computers. Mr. Krzanich has displayed drones, robots and other new-wave gadgets during some high-profile speeches, including an Intel event in San Francisco last week.

Drones, unlike earlier remote-control planes, can be programmed for autonomous actions such as hovering in a fixed position or flying home. Intel has been working on enhancing their abilities with special cameras designed to help them avoid objects without human assistance.

-------------------

인텔, 퀄컴 드론사업 투자..향후 신성장동력 활용

[이데일리 장순원 기자] 인텔 등 글로벌 정보·통신(IT)기업이 드론 개발경쟁에 본격 나섰다. 빠르게 성장하는 드론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 신성장동력으로 활용하겠다는 계산이다. 

세계 최대 반도체기업 인텔은 중국의 드론 개발사 유닉(Yuneec) 에 6000만달러(약 706억원) 투자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상하이(上海)에 본사를 둔 유닉은 1999년 설립됐으며 2004년부터 드론을 본격적으로 제작했다. 대표 제품 ‘타이푼Q5004K’은 고화질 카메라를 장착해 비디오 촬영이 가능한 제품으로 가격은 1299달러(약 150만원)다. 인텔과 유닉은 차세대 드론개발에도 공동 착수할 예정이다. 

인텔은 유닉 외에도 드론용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개발하는 에어웨어와 드론이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는 프리시전호크에도 투자한 바 있다. 

브라이언 크르자니크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드론은 배송과 안전점검 같은 사업분야에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드론을 신사업으로 육성해 업계에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며 진출배경을 밝혔다.

인텔뿐 아니라 최근 퀄컴도 드론용 반도체칩 개발에 착수했으며 조만간 구체적 내용을 공개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소니도 건축·농업·물류 등 특수분야에 쓰이는 상업용 드론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인텔이나 퀄컴같은 반도체칩 기업이 드론에 눈독들이는 이유는 칩 시장 경쟁은 격화한 반면 수요는 둔화하고 있어 매출이 줄어드는 추세 때문이다. 

한동안 반도체 칩을 대량으로 썼던 스마트폰 업계 성장세가 꺾인데다 주력인 PC시장 마저 어려움을 겪고 있어 최근 급성장하는 드론 사업에 투자해 새 활로를 찾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다.

특히 드론사업은 진출할 수 있는 사업분야가 넓다는 게 장점이다. 지도제작이나 촬영, 농업분야를 포함해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이 활용되고 있고 구글, 아마존, 알리바바 같은 온라인 기업도 드론을 활용해 사업영역을 넓히려 하고 있어 기업간거래(B2B) 수요도 풍부하다. 

이에 따라 업계 전문가들은 드론 시장이 오는 2025년까지 미국에서만 82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8. 30. 11:28

정확히 말하면 아마존에서 디바이스를 맡고 있는 Lab126 인원들 구조조정이지요.


아마존 폰은 Qualcomm chip의 가장 큰 성공작이었던 MSM8974를 쓰고도 유일하게 대박 실패한 작품이지요.


잘못된 경영진의 판단, 상품기획의 실퍠, 마케팅 실패로 인한 오류를 결국 엔지니어가 떠 안게되는 좋은 예가 될것 같습니다. 잘 만들어 놓고도 특정 기술개발이 늦여져 경쟁 스마트폰보다 1년이나 늦게 출시한것은 명백한 잘못이지요. 게다가 말도안되는 고가전략, 안드로이드 앱 마켓도 안되는 폐쇄적 생태계. 재때에 나오고 가격만 맞았더라면 대박도 가능했겠지요.


엔지니어들이 개발뿐만아니라 상품기획과 경영에 참여하지 않으면 결국 우리가 잘못하지 않은 문제로 칼을 맞을 수 있다는 좋은 예인것 같네요.

---------------



The Wall Street Journal (WSJ) reported that Amazon.com, Inc. (NASDAQ:AMZN) may be planning a change in its workforce. The company has terminated “dozens of engineers,” who worked on the Fire smartphones. The e-commerce giant’s hardware development unit, Lab126, is likely undergoing a strategic change, as numerous employees have been laid off.

In recent months, Amazon rendered two-day and same-day delivery services in some US locations. Its Amazon Prime membership allows users to order every day-use products to be delivered in hours.

In recent past, Amazon has launched many products, although its tech offerings were not ground-breaking. Lab126 was responsible for engineering and developing Amazon’s own line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Fire tablets and smartphones, Kindle products, and other technologically-advanced products such as the Echo.

The company’s latest move pertaining to its Lab126 engineers is likely a measure it took based on the criticism it faced with its Fire Phone. The company introduced its Fire smartphones in the hope to penetrate an industry that is highly saturated and immensely competitive. For the e-retailer, the Fire Phone proved to be a commercial failure.

Most probably, Amazon blames the smartphone’s underachievement to the workforce, which may be why it is rotating it to filter out the weeds.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the company has slowed down many Lab126 projects, which include Project Cairo – a 14-inch tablet, Nitro – a smart stylus, and Shimmer – a projector.

As sources told WSJ, there are several products in plans, and the change in the workforce is probably due to that.

Reportedly, Lab126 is also working on a project codenamed “Kabinet,” which is essentially a “high-end computer for the kitchen.” It is being designed to operate as a home hub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voice commands for various functions, similar to Echo. Some engineers stated that they are planning a new battery for Kindle e-reader, which can last two years.

Although Amazon’s plans are not quite clear, the latest layoffs indicate the company’s tactical shift in the consumer electronics space. Lab126 has nearly 3,000 employees, and one may say that the recent reported layoff doesn’t make any difference.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is the first time the company has laid off workers in the unit’s 11-year history.

While most of Amazon’s native products, such as Kindle e-reader and Fire tablet, were a success, Fire Phone was a disappointment. The absence of the company’s significant impact in the tech industry is probably because it aims to drive growth in online purchases, rather than efforts to play the tech game. If Amazon isolates its e-commerce business from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business, it may prosper. Perhaps, Amazon was more concerned about getting numbers, than devising a game plan for its entry into the smartphone business. The industry’s response to Fire Phone was definitely hurtful for the engineers’ and developers’ morale, and now, some of them have been laid off. While Amazon may be planning a comeback in the mobile industry, we suggest that it should stick to e-commerce.

Posted by 쁘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