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Stock2015. 8. 27. 23:10

-------------

Glut of Chinese Steel Looms Large

China is increasingly using recycled steel, pressuring iron-ore prices and global miners

 

By JOHN W. MILLER and

   

RHIANNON HOYLE

Aug. 25, 2015 6:17 p.m. ET

46 COMMENTS

The world's biggest producers of iron ore have a problem, and it lies in the steel that has already gone into China's cars, bridges and skyscrapers.

Over the past decade, China has accumulated more steel than any other economy in the world. And because steel can be endlessly recycled, the country's steelmakers are likely to turn increasingly to scrap instead of the iron ore mined by the likes of BHP Billiton Ltd.,Rio Tinto PLC and Anglo American PLC.

On Tuesday, BHP Billiton, the world's biggest miner, lowered its long-run forecast for peak China steel demand to between 935 million and 985 million metric tons from one billion to 1.1 billion tons. China's annual production is currently at about 800 million tons.

This historic glut of Chinese steel, and concerns over the country's economic prospects, have hurt prices for iron ore, the biggest ingredient in steelmaking. The commodity has fallen to roughly $50 a ton from $190 a metric ton in 2011, squeezing the profits—and share prices—of the world's biggest mining companies. The S&P mining index has declined to 18.33 from above 70 over that stretch.

China accumulated so much steel so rapidly that the total amount of steel in the economy and available for recycling now stands far beyond the level that would be typical for an economy its size, at around five tons per capita, according to analysis by Morningstar Inc.

In adjusted gross domestic product per capita, China now matches Japan's level of development in 1968. At that time, the Japanese economy had 2.9 tons of steel per capita. A comparison with the U.S., which was at China's current level in the 1940s, isn't relevant because American cities are more horizontal and have more wood-based homes.

China's appetite for iron ore led global mining companies to invest billions in new mines during the last decade, which are now contributing to the oversupply as demand slows. From Rio Tinto and BHP Billiton's massive open-pit facilities in the Australian desert to Anglo American's 330-mile slurry pipeline in the Brazilian jungle, companies bet big on massive mines, railroads and ports.

Global capital spending by miners surged from around $35 billion in 2000 to over $200 billion in 2012, before slipping back to around $150 billion, according to SNL Metals.

On Tuesday, after BHP reported an 86% dive in profit for the year ended in June, CEOAndrew Mackenzie said the mining company expects China's broader economy to pick up in the second half, meeting its 7% overall growth for 2015.

Interest-rate cuts, along with moves to support the property market and infrastructure spending, should buttress growth for the rest of the year, he said. Despite the reduced outlook for peak steel demand, Mr. Mackenzie said China's leaders had a clearly articulated strategy, and that his company had adapted accordingly.

RELATED

  • But as construction cools in China, the country is starting to export more of the steel it makes: its exports increased 27% during the first seven months of the year, to 62.1 million tons, and are expected to top 100 million tons this year, up from 53 million tons in 2013, according to Global Trade Information Services.

    At some point next year, Chinese steel exports will surpass the total production of the world's second-biggest steelmaker, Japan.

    And in the next decade, as the country's consumers and businesses start recycling their first generation of containers, cars and appliances, the steel glut will be compounded.

    China's scrap production currently amounts to around 10% of its total steel output, compared with two-thirds for the U.S. Analysts expect its scrap production to start taking off toward the start of next decade.

    Surging Chinese exports have contributed to global oversupply, diluting steel prices around the world. In the U.S., steelmakers have filed three requests for protective import tariffs on steel from China and other countries. U.S. Steel Corp. and ArcelorMittal, two of the biggest steelmakers in the U.S., have closed plants and laid off thousands of workers.

    "China is moving from commodity importer to exporter," Ugur Dalbeler, CEO of Turkish steelmaker Colakoglu Metalurji, said in an interview. "And it's a problem every steelmaker outside of China now has to cope with."

    —Alex MacDonald contributed to this article.

    Write to John W. Miller at john.miller@wsj.com and Rhiannon Hoyle atrhiannon.hoyle@wsj.com

    ------------

    "중국 고철더미가 세계 철강산업의 가장 큰 골치"

    중국, 막대한 고철더미 재활용 착수…공급초과 불가피 

    (뉴욕=연합뉴스) 이강원 특파원 = "중국에 태산처럼 쌓여있는 고철더미가 전세계 철강산업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미국의 경제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중국내 자동차, 건물, 다리 등에 녹아들어간 쇠 더미가 전세계 철강산업의 가장 큰 문제라고 우려했다.

    중국은 과거 수십년에 걸쳐 다른 어떤 나라도 따라오지 못할 만큼 많은 분량의 철강을 생산하거나 수입해 소비했다. 그런 중국이 이제는 내구연한이 끝나 고철이 된 이들 철강을 재활용해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전세계 철강 업황을 완전히 뒤흔들어놓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BHP빌리튼, 리오 틴토, 앵글로 아메리칸 등 세계 굴지의 철강업체들이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당장 세계 1위의 철강업체 BHP빌리튼은 중국의 새로운 철강 수요를 당초 10억∼11억톤에서 9억3천500만∼9억8천500만톤으로 크게 낮춰 잡았다.

    중국이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철강의 연간 생산량이 8억톤에 달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중국산 철강이 넘쳐나는데다 중국 경기마저 부진해지자 전세계 철강 단가는 2011년 1톤당 190달러 선에서 지금은 50달러대로 뚝 떨어졌다.

    이런 탓에 세계적인 철강업체들의 주가와 순익, 매출이 동반하락했다.

    심각한 것은 현재 중국이 재활용에 사용할 고철더미의 분량이 중국 전체의 수요를 충족하고도 크게 남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현재 중국이 보유한 전체 고철량은 1인당 약 5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중국의 현재 1인당 국내총생산(GDP)의 수준을 인플레이션과 구매력 등을 감안해 환산하면 1968년 일본 수준과 비슷하다. 당시 일본이 보유량 고철량이 1인당 2.9톤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의 고철량이 쓸데없이 많은 것이다.

    미국과 비교하면 중국의 경제력은 1940년대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철강 부문만 놓고 보면 비교가 쉽지 않다. 미국은 중국과 달리 고층건물을 많이 짓지 않는 편이며, 건설에 들어가는 기본재료가 철강이 아닌 목재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중국은 최근 10년 이상 세계 곳곳의 철강 산업과 업체에 적잖은 투자를 해왔다. 이것이 이제는 '초과공급'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중국은 자국내 건설경기가 침체 위기를 맞자 자국에서 생산한 막대한 분량의 철강을 외국으로 수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중국의 올해 철강 수출량은 7월까지 전년 같은 기간보다 27%나 늘어난 6천210만톤에 달한다. 연말에는 수출량이 1억톤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2013년 연간 철강 수출량이 5천300만톤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엄청나게 불어난 규모다. 

    이런 추세라면 내년 중국의 철강 수출량은 전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분량의 철강을 만드는 일본 전체의 생산량을 웃돌게 된다.

    더욱 심각한 것은 앞으로 10년새 중국에서는 막대한 분량의 고철더미가 추가로 발생한다는 점이다. 과거 수십년간 막대한 철강이 투입된 각종 분야의 내구연한이 끝나 고철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면 중국은 이들 고철을 재활용해 새로운 철강을 만들 수밖에 없어 중국발 '공급 초과' 현상은 더욱 악화할 수밖에 없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8/27/0200000000AKR20150827006300072.HTML?input=1179m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8. 27. 22:58

우리 아들도 좋아하고 나도 좋아하고, 참 잘만든게인인데, 5년전에 나왔을때와 큰 변화가 없이 계속 욹어만(!) 먹은것이 문제인것 같네요. 경쟁도 너무 심해졌고요. 돈을 벌만한 기회가 많이 줄어든듯. 이번에 영화도 나온다고 하고, 게임도 여러 참신한 시도도 많이해보면 좋겠습니다.

-----------------

Angry Birds maker cutting up to 39% of staff

Angry Birds maker Rovio will cut up to 39% of its staff, the company announced on Wednesday.

About 260 people may lose their jobs as Rovio shrinks its business to concentrate on fewer products. It's the second round of significant layoffs in less than 12 months.

Over the past several years, the Finnish company has pushed itself to do "too many things" in its eagerness to grow and capitalize on its wildly successful Angry Birds franchise.

There are Angry Birds-themed amusement parks, an e-learning service for kids, a series of Angry Birds books, and an online and TV cartoon series based on the game's assortment of animals.

"In our current financial condition we must now put focus on where we are at our best," CEO Pekka Rantala explained in a statement.

The company excels in making games, he added, but the job cuts won't affect staff working on the upcoming Angry Birds movie. It's slated for a 2016 release.

"(I)t is certain that a leaner and more agile Rovio is absolutely necessary to move forward and take the company to new successes in the future," Rantala said.

Angry Birds launched in 2009 and was a worldwide hit within less than two years.

Rovio followed up with several other games that riff on the original concept -- slinging ball-like animal avatars into obstacles. There's everything from Angry Birds Space to Angry Birds Transformers and Stars Wars. But none were as successful as the first.

For many industry watchers, news of the job cuts weren't a surprise. Like Zynga (ZNGA), the maker of Farmville, and King, maker of Candy Crush, Rovio has been betting too much on a single popular game.

Rovio now makes more than 20 games. Some of the newer ones, such as Retry, aren't related to Angry Birds at all, and have seen some success.

But in late July, the company also released Angry Birds 2, an updated version of the free game with more in-app purchase products.

Rovio says the new version has been downloaded almost 50 million times in its first month, which the company says is "good momentum."

Posted by 쁘레드
재밌는세상2015. 8. 25. 15:42

 

ㅋㅋㅋ. 이런 기사나면 좀 쪽팔리겠다. 아버지와 두 아들들이 좀 좋은일 하면서 사회에 악이 되지 말고 도움을 주며 살았으면 좋겠는데. 그남아 장남인 김동관은 셋중 가장 정상에 가깝다고 하던데.

---------------

  •  

    --------------

    한화家 차남 김동원 팀장, 핀테크로 그룹 경영 참여 시작

    한화 차남 김동원 팀장, 핀테크로 그룹 경영 참여 시작

    김승연 한화 회장의 차남 김동원(30·사진) ㈜한화(한화 (40,550원▼ 500 -1.22%)) 디지털팀장이 한화 그룹의 핀테크(Fintech·금융업에 정보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것) 사업을 중심으로 경영 활동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장남 김동관 한화큐셀 영업실장이 지난해 말 정기인사에서 상무로 승진하면서 주요 태양광 전시회 참가 등 대외활동을 시작한 것과 맞물려 후계승계가 본격화 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재계에 따르면 김동원 팀장은 핵심 금융계열사인 한화생명의 IT사업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한화생명이 갖고 있는 대규모 고객 기반을 중심으로 그룹 전반의 디지털 신사업을 전개하려고 하고 있다"며 "특히 핀테크, 빅데이터 분야가 중심"이라고 설명했다.

     

    한화그룹은 한화생명과 한화손해보험, IT서비스 계열사인 한화S&C 임직원들을 차출해 별도 핀테크 사업팀을 꾸렸다. 이 부서를 바로 김동원 팀장이 맡고 있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해당 팀은 최근 P2P(개인간 거래) 방식의 대출 사업에 진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 팀장은 지난해 3월 한화L&C(현 한화첨단소재)에 입사했다. 이후 파견 형태로 ㈜한화의 디지털팀장을 맡게 됐다. 이후 벤처 육성 사업인 '드림플러스'를 총괄하고 있다. 이 밖에도 지난해 말 한화S&C가 60억원을 출자한 벤처투자펀드 조성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곳 모두 핀테크 관련 기술 투자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드림플러스의 경우 P2P 대출업체 빌리를 육성하고 있다. 한화S&C는 4월말 빅데이터에 기반한 신용평가 모형 개발 역량을 갖춘 스타트업 하이브네스트를 인수했다. 이 밖에도 한화는 4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P2P 대출산업 행사인 '렌딧 콘퍼런스'에 ㈜한화, 한화생명, 한화인베스트먼트 소속 임직원들을 파견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재계 일각에서는 김 팀장이 금융계열사를 중심으로 후계 승계 작업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장남이 후계 승계를 위한 PI(President Identity·최고경영자 이미지) 작업을 시작했으니, 차남도 사업 활동을 전개하는 게 자연스러운 수순"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차남의 행보는 본인의 관심과 적성에 맞는 사업을 중심으로 장남과 보폭을 맞추겠다는 전략의 일환"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한화 측은 올해부터 장남인 형 김동관 상무가 해외 전시회에 참가해 수주 실적을 거두고, 현지 임직원들을 독려하는 모습을 공개하기 시작했다. 지난 2월 일본 전시회에서는 임직원들에게 "현재 일본 내 30MW(메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운영 규모를 이른 시간 안에 세 배 수준인 100MW까지 늘려야 한다"는 목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동생 김동원 팀장은 미국 세인트폴고교와 예일대를 졸업하고 한화 입사 전까지 소규모 공연기획과 마케팅 관련 일을 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팀장은 2007년 유흥업소 종업원과의 시비로 아버지 김승연 회장의 '보복 폭행' 사건을 불러온 당사자다. 2011년에는 차량 접촉사고 후 뺑소니 혐의로 벌금을 부과받았고, 2014년 초엔 대마초를 피운 혐의로 집행유예를 선고받기도 했다.

     

Posted by 쁘레드
경제이야기/Stock2015. 8. 25. 14:41

2015년 8월 24일 = 20150824

아침에 장이 시작하자 마다 DOW지수가 1000포인트가까이 빠져버리는 패닉이 발생합니다. 장중 무려 -6.6%. 일어나서 주식이 믿을수 없을정도로 폭락한 상황을 보면서 Apple을 열어봤더니 무려 $92까지 폭락했다가 조금씩 회복하고 있었습니다. 장중에 -13%까지 폭락했다가 심지어 다시 3%까지 올랐다가 -2.5%로 마감했습니다. Home Depot는 장중 무려 -20.7%까지 폭락했다 -3.1%로 마무리. 이런 말이 또 오는군요. 2007년보다 더 큰 폭락인듯.

교훈: 

1. 이성을 잃은 미친듯이 폭락장에서는 업계 주도주를 위주로 살 필요가 있는것 같다. 다만 단기차액에 만족하고 바져나와야 한다는 조건을 가지고.

2. 장기적으로도 좋은 주식은 다시 주어담을 시기라고 생각











미국 주식시장은 1200번이나 거래가 중단되었다고 합니다. 2011년 8월이후 최약의 장이었다고 헐~

Stocks and exchange-traded funds were automatically halted more than 1,200 times, according to Nasdaq.

The high level of trading pauses highlights just how extreme the selloff was in a short span of time. Fears about China's economic slowdown caused the Dow to plummet over 1,000 points when the market opened. The Dow ended down 588 points, its worst decline since August 2011.

디즈니같은 엔터테인먼드 주가도 폭락했는데 이는 정말 over sold라고 보여집니다. 디즈니는 당당 담아도 좋을듯.



Posted by 쁘레드
Programming2015. 8. 24. 14:00

2009년 판인데 좀더 update하면 많은 사람들이 재밌어 할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http://www.nltk.org/book/ch01.html

가면 온라인에서 책도 볼수 있습니다.

----------------------



INDEX

0. Preface
1. Language Processing and Python
2. Accessing Text Corpora and Lexical Resources
3. Processing Raw Text
4. Writing Structured Programs
5. Categorizing and Tagging Words (minor fixes still required)
6. Learning to Classify Text
7. Extracting Information from Text
8. Analyzing Sentence Structure
9. Building Feature Based Grammars
10. Analyzing the Meaning of Sentences (minor fixes still required)
11. Managing Linguistic Data (minor fixes still required)
12. Afterword: Facing the Language Challenge


../images/authors.png

Figure XIV.1: Edward Loper, Ewan Klein, and Steven Bird, Stanford, July 2007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h alias  (0) 2015.09.19
codeaurora.org and linaro.org  (0) 2015.09.13
파이썬 오디오 인식 - pydub, audiogrep  (0) 2015.08.24
Python의 얼굴과 젊은 개발자의 언어 선택에 대한 조언  (0) 2015.07.26
Python for Data Analysis  (0) 2015.07.24
Posted by 쁘레드
Programming2015. 8. 24. 13:54
오디오/음성를 인식해서 text로 바꿔주는 기능은 open source로도 많이 있습니다. 오래된 기술인데 사실 어떤 application에 쓰일수 있느냐가 key인데 재밌는 application이 많이 있는데도 아직까지 많이 퍼지지 않은것이 궁금해서 이것저것 보고 있습니다.

Pydub Build Status

Pydub lets you do stuff to audio in a way that isn't stupid.

Manipulate audio with a simple and easy high level interface 


Installing pydub is easy, but don't forget to install ffmpeg/avlib (the next section in this doc)

pip install pydub

-OR-

git clone https://github.com/jiaaro/pydub.git

Dependencies

You can open and save WAV files with pure python. For opening and saving non-wav files – like mp3 – you'll need ffmpeg or libav.

Linux (using aptitude):

# libav
apt-get install libav-tools libavcodec-extra-53

####    OR    #####

# ffmpeg
apt-get install ffmpeg libavcodec-extra-53

https://github.com/jiaaro/pydub

--------------------

Audiogrep

Audiogrep transcribes audio files and then creates "audio supercuts" based on search phrases. It usesCMU Pocketsphinx for speech-to-text and pydub to stitch things together.

pip install audiogrep

How to use it

First, transcribe the audio (you'll only need to do this once per audio track, but it can take some time)

# transcribes all mp3s in the selected folder
audiogrep --input path/to/*.mp3 --transcribe

이 명령어만 쓰고 ouput된 text에 따로 grep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 returns all phrases with the word 'word' in them
audiogrep --input path/to/*.mp3 --search 'word'

https://github.com/antiboredom/audiogrep

--------------------


sudo apt-get install python-pip
  1. pip is a package management system used to install and manage software packages written in Python. Many packages can be found in the Python Package Index (PyPI).


Posted by 쁘레드
재밌는세상2015. 8. 24. 09:22

GDP와 기대수명은 큰 상관관계가 있지만, GDP와 상관관계는 없다고 나오고 있습니다. 반비례라고 할수는 없는것이 GDP가 높은 나라중에 행복할 나라도 많이 있기때문이지요.

-----------------

On Gauging the Pursuit of Happiness

Measures of well-being pick up where gross domestic product leaves off


http://www.wsj.com/articles/on-gauging-the-pursuit-of-happiness-1440149401


GDP per capita (current US$)

http://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PCAP.CD?order=wbapi_data_value_2010%20wbapi_data_value%20wbapi_data_value-first&sort=desc

2013 Well-Being Module Microdata Files

http://www.bls.gov/tus/wbdatafiles_2013.htm

Bureau of labor statistics

Posted by 쁘레드
재밌는세상2015. 8. 24. 09:01

행복은 돈과 큰 관련이 없다는것에 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이 없을정도로 사람들은 더 부자가 됐지만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압니다.

행복한 인생을 사는 방법이 도처에 널려있지만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은 늘어만 갈뿐 줄어들기 쉽지않습니다.

우리가 불행했다면 우리 아이들만큼은 행복하게 키워야 할텐데, OECD 독보적 1위를 자랑하는 청소년 행복지수 최하위는 여러 다른 통계에서도 보여집니다.


네팔 어린이들이 한국이나 영국 아이들보다 더 행복할 가능성이 높다라는 기사라 올라왔습니다.

한국 어린이들은 어떤 나라 아이들보다 물질정 풍요와 최신 IT문명의 이기를 누리고 있지만 이 세상에서 가장 덜 행복한 아이들입니다.

아이들에게 돈이 아니라 행복을 줘야 할 의무는 한국 부모에게 있지요. 아이들은 행복할 권리가 있습니다.

이미 늦었지만 늦었다고 생각할때가 가장 빠를때라고, 어떻게 행복한 어린이를 만들수 있을지 고민을 오늘 시작해야합니다.

----------------

Nepal’s Children More Likely to Report High Well-Being Than South Korean or U.K. Kids

Do gadgets and good clothes make children feel more content with life? A new survey of childhood well-being in 15 countries suggests not.

>좋은 옷과 최신 IT기기들이 아이들을 행복하게 할까요? 아닙니다.









최하위 Low well-being도 조사국가중 가장 높습니다. 최하위 well-being에 속하는 아이들은 대체로 극저소득층일 확률이 높고요, 이는 한국 소득불균형이 이미 너무 심하고 앞으로 더 심해질거라는 추세를 보면 독보적인 계속 1위를 오래동안 유지할것 같은 항목입니다. 


아주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아이들이 39.5%나 된다고 생각하며 위안을 삼아야 할까요. 모든 어린이들은 행복해야한다고 생각하고 78%도 낮다고 생각해야 옳은 사회일까요?


http://blogs.wsj.com/indiarealtime/2015/08/19/nepals-children-more-likely-to-have-high-well-being-than-south-korean-or-u-k-kids/?mod=blog_flyover


기사에서 인용한 통계자료는

http://www.isciweb.org/_Uploads/dbsAttachedFiles/ChildrensWorlds2015-FullReport-Final.pdf



----------------

[카드뉴스] 한국 아이들이 가장 불행한 이유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131661&plink=ORI&cooper=DAUM

한국 아이들이 행복하지 않은 이유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kim209&logNo=220171584997

Posted by 쁘레드
자동차이야기2015. 8. 17. 15:14



현대차/기아차가 인기 4차종이 성장곡선을 이탈했지만 이 정도 성적도 아주 잘하고 있습니다. 가격을 많이 인하한 소나타는 다시 판매량을 증가로 돌려놓고 있습니다. 엘란트라도 꾸준히 판매대수를 늘리고 있습니다. 가격할인이 없어도 잘 팔리는것 같습니다.

기아도 구형차종으로 아주 선방하고 있습니다.

RankBest-Selling CarJuly
2015
July
2014
%
Change
2015
YTD
2014
YTD
%
Change
#7Hyundai Sonata23,91722,5775.90%119,738128,924-7.10%
#8Hyundai Elantra22,13522,213-0.40%150,833134,71012.00%
#14Kia Soul13,97514,709-5.00%81,96189,708-8.60%
#15Kia Optima12,63813,588-7.00%92,60496,401-3.90%

---------------------

현대차 럭셔리 차라고 불리는 3개 모델 2015년 7월 판매량.


제네시스는 2474대로 계속 선방하고 있지만 제네시스 쿠페와 제네시스 세단을 합친 숫자입니다. 실제로 세단이 얼마나 팔렸는지 알수 없고요.

Kia K900(한국면 K9)은 480대로 상당히 많이 늘었습니다. 아래 기레기 기사에도 있지만 할부금융 조건을 좀더 유리하게 한것이 법인 고객들을 끌어들였다고 합니다.

현대 에쿠스는 174대로 이미 망한 상태라고 봐야되고요.


이런 상태에도 현대가 뭘 제치며 뭘 인정받고 있다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저는 이런 기자는 나 돈받고 기사 쓰는 사람이라고 광고하는거라 굳게 믿습니다.

RankVehicleJuly 2015 YTDJuly 2014 YTD%
Change
July
2015
July
2014
% Change
#121Hyundai Genesis ³19,74417,03615.90%2,4742,990-17.30%
T247Kia K9001,19094825.50%480132264%
#244Hyundai Equus1,3332,082-36.00%174305-43.00%

---------------------

궁금해서 렉서스 브랜드 7월 판매현황을 살펴보니, 모두가 예상하시다 시피 현대하고 비교가 어떻게 되겠습니까.

크기가 아니라 제네시스보다 가격대 비슷한 ES/IS는 둘다 합하면 만대나 팔리고 있고

Equus/K900과 가격이 비슷한 GS는 1701대가 팔렸습니다.

그 윗급이라 생각되는 LS가 631대나 팔렸네요.

RankVehicleJuly 2015 YTDJuly 2014 YTD%
Change
July
2015
July
2014
% Change
#82Lexus ES34,48139,496-12.70%5,4406,326-14.00%
#97Lexus IS27,70028,115-1.50%4,2804,542-5.80%
#153Lexus GS12,84312,1235.90%1,7012,001-15.00%
#205Lexus LS4,3324,578-5.40%6316241.10%


---------------------

진정한 럭셔리 대형 세단들은 아래와 같은데, 벤츠의 S Class, CLS둘은 완전 상상을 초월하는 인기입니다.


Click Column Headers To Sort • June 2015 • July 2014

Large Luxury Car
July
2015
 ▴
July
2014
%
Change
2015
YTD
2014
YTD

Change
1414
1920-26.4%11,99413,151-8.8%
1238
70575.6%403938993.6%
916
54468.4%6139525516.8%
749
64715.8%41255116-19.4%
631
6241.1%43324578-5.4%
418
503-16.9%29353137-6.4%
370
391-5.4%28623516-18.6%
336
30510.2%21922627-16.6%
311
384-19.0%53955717-5.6%
---
---
---------------
Total
6383
60236.0%44,01346,996-6.3%


---------------------

사실을 쓰는 기자가 아니라 나 돈받고 글쓰는 사람이라고 막박에 붙이고 다니는 기레기들이 많이 있습니다. 모든 언론사는 자신이 쓴 기사의 리스트를 바로 볼수 있게 '이 기자가 쓴 다른 기사보기 링크'를 꼭 이름 옆에 달게 의무화 했으면 좋겠습니다.


현대/기아차는 에쿠스던 K900이던 럭셔리 세단으로 치는 통계는 현대자동차 스스로 발표하는 자료밖에 없습니다.


현대·기아차 美대형세단 첫3위..렉서스 제쳤다

머니투데이 | 오상헌 기자 | 입력 2015.08.17 09:04


[머니투데이 오상헌 기자] [7월 벤츠·BMW 이어 3위, K9판매 263%↑, ...제네시스도 '질주' 누적판매 60%증가]

현대·기아차가 지난 달 미국 최고급 차종인 대형 프리미엄 럭셔리 세단 시장에서 사상 처음으로 렉서스를 제치고 벤츠와 BMW에 이어 3위에 올랐다.

현대차 에쿠스와 제네시스, 기아차 K9(현지명 K900) 등 '럭셔리 3인방'의 올해 누적 판매량 기준 점유율도 10%를 웃돌아 현대·기아차의 브랜드 가치 상승에 크게 일조하고 있다.

↑ ↑ K9/사진제공=기아차

17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에쿠스와 기아차 K9은 7월 미국 프리미엄 럭셔리(Premium Luxury) 세단 시장에서 모두 654대가 팔려 631대에 그친 렉서스를 누르고 전체 브랜드 중 3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누적 판매량 기준으론 6위권이었지만 지난 달 단숨에 3위권으로 치고 올라온 것이다. 7월 미국 프리미엄 럭셔리 세단 판매량 1위와 2위는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1414대)와 BMW 7시리즈(916대)가 각각 차지했다.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8. 17. 08:27

LED시장이 중국업체의 저가 덤핑에 급격히 무너진지 벌써 2년정도 되는것 같습니다. 마켓도 역시 같이 크고있는데 중국의 물량과 저가 공세가 세계 경쟁자들은 어떻게 몰락시키는지 보면 재미있습니다. LED는 나름 반도체라 high tech쪽에 속하는데 low tech에 속하는 회사들과 산업들은 중국업체들이 발을 디디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High tech중에서는 smart phone, IOT, 자동차(=automotive), 네트웍 등등은 다 중국기업때문에 결국 성장동력이 많이 껄일듯보입니다.


다행히 시장자체가 쪼그라드니까 이익없이 돈 회전만으로 버티던 중국기업들도 나가떨어지는 상황이 나오고 있습니다. 마켓이 정리되면 시장 주도주들이 다시 주목을 받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

http://www.etnews.com/20150812000378

'치킨게임` 주도한 중국 LED 시장, 산업 위기 ‘부메랑’으로 돌아와

공격적인 증설로 발광다이오드(LED) 산업의 치킨게임을 주도했던 중국 업체가 수익성 악화와 브랜드 이미지 훼손 등으로 위기에 처했다. 무리한 증설에 따른 공급과잉이 산업 위기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온 셈이다. 올해 중국 LED 업계가 일부 선두 업체를 제외하곤 정리 수순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내 LED 업계도 중국발 무차별 공습에서 한 발짝 벗어날 수 있게 됐다.


최근 중국 LED 관련 업계가 자국 내 업체 간 가격 경쟁 심화와 판매부진에 따른 재고 부담, 수익성 악화 등으로 심각한 실적 부진을 겪고 있다. 이익을 내는 곳은 극히 일부 업체에 불과하고 업계 대부분 만성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 업계가 어려움을 겪는데는 글로벌 조명 업체 필립스가 한몫했다. 필립스는 중국 내에서 가격경쟁력에 뒤처져 재고가 늘어나자 지난 2분기 동안 재고 정리 차원에서 대대적인 덤핑 판매를 전개했다. 5달러 이상으로 판매하던 LED 램프를 반값으로 내렸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도 글로벌 조명업체인 필립스 브랜드 가치가 높은 편인데, 가격이 크게 떨어지면서 필립스 제품 선호도가 현지 업체 제품보다 높아졌다”며 “지난달 끝날 것으로 예상했던 가격 인하 마케팅이 지속되면서 중국·대만 LED 업체 판매가 급감했다”고 설명했다.


필립스 외에도 중국에서 가격 인하 정책을 고수하는 글로벌 업체가 늘어나고 있는 것도 중국 LED 업계에 위협이다. 이들 글로벌 업체는 중국에서 OEM 생산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 중국 내수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공격적인 증설로 발광다이오드(LED) 산업의 치킨게임을 주도했던 중국 업체가 수익성 악화와 브랜드 이미지 훼손 등으로 위기에 처했다. 중국 LED 업계가 일부 선두 업체를 제외하곤 정리 수순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내 LED 업계도 중국발 무차별 공습에서 한 발짝 벗어날 수 있게 됐다.사진은 BO. 사진=전자신문DB 

<공격적인 증설로 발광다이오드(LED) 산업의 치킨게임을 주도했던 중국 업체가 수익성 악화와 브랜드 이미지 훼손 등으로 위기에 처했다. 중국 LED 업계가 일부 선두 업체를 제외하곤 정리 수순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내 LED 업계도 중국발 무차별 공습에서 한 발짝 벗어날 수 있게 됐다.사진은 BO. 사진=전자신문DB >


공격적 증설 투자에 나서 공급을 늘렸던 LED 칩과 패키지 부분 가격이 폭락하면서 중국 LED 관련 산업 전체가 흔들리는 상황까지 왔다.


중국 LED 산업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LED 칩 가격이 원가보다도 더 낮게 책정된 상황이라 만들면 만들수록 적자가 됐다”며 “무분별한 증설 투자가 ‘자승자박’하는 덫이 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중국 정부도 이 같은 상황을 인지하고 올해부터 LED 관련 보조금 지원 등을 축소하고 있는 분위기다. 지난해 말 보조금 지원이 불명확해지자 중국 업체는 일정을 앞 다퉈 설비 투자를 진행했다. 하지만 판로 개척에 실패하면서 일부 선두 업체를 제외하곤 많은 업체가 도산 위기에 처했다. 업계는 향후 1~2년 내 대부분이 정리될 것으로 내다봤다. 일부 LED 칩 업체는 차세대 기술인 플립칩 생산을 확대하는 등 생존 전략 모색에 들어갔다.


국내 업계는 LED 산업 안정화를 기대하고 있다. 우려했던 공급과잉이 일부 해소되면 가격이 빠르게 안정화될 것이고, 중국 업체가 혼란스러운 틈을 이용해 차세대 LED 제품 개발로 기술 격차를 더 벌리겠다는 각오다.


박은현 세미콘라이트 대표는 “지난해 중국 업체가 유기금속화학증착(MOCVD) 장비 투자를 크게 늘렸기 때문에 플립칩, UV LED과 같은 새로운 기술에 신 설비를 투자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대응한다면 우리나라도 글로벌 LED 산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8/14/2015자 CREE주가 그래프.


Posted by 쁘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