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야기2015. 4. 13. 03:18

For new movies, better than Netflix.

넷플릭스는 상업적으로 가정 성공한 video streaming 사이트지요. 자체 영화나 드라마도 제작하고 엄청난 사용자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막상 들어가 보면 최신것은 없고, 오래된것도 없는게 많고. 그래도 $7.99 면 싸다고 생각되지만, 부족한 점이 많지요. 특히 새로운 영화를 보고 싶을때는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하는데.

https://popcorntime.io/

Popcorn Time이라는 Open Source project이 있습니다. 이것은 bittorrent(토렌토, 토렌트)를 기반으로 media player까지 포함하는 project라고 합니다. 팝콘 타임 사이트에 가서 앱을 다운받으면 영화 리스트를 볼수 있습니다. 거기서 영화를 click하면 볼수 있습니다. simple하지요. 화질도 정말 좋고 속도도 엄청 빠릅니다.제가 상당히 재밌게 본 부분이 bittorrent로 sequential downloading 을 지원한 점입니다. 막연히 그렇게는 안되는거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역시 사람은 배워야.

어떻게 이런게 가능하냐에 대해서… 불법일까. Bittorrent로 구현한것을 불법은 아니지만 영화를 리스팅하고 볼수 있게해주는것은 불법이겠죠. 보는 사람도 불법이구요. Bittorrent 특성상 내가 download를 받으면 다른 사람에게 upload를 하기때문에 가중 처벌될수가 있지요. 그러나 이 경우는 스트리밍이라 입증하기가 쉽지않을것 같습니다. 최근 몇개를 봤다고 입증하더라도 download의 경우 몇년동안 다운받은 영화 100개씩 발견되면 1개당 얼마씩해서 손해배상 청구할수 있는데, 스트리밍은 로컬에 저장되지 않기때문에 최근 몇개정도만 증명해서는 크게 처벌도 어렵고요. VPN access까지 지원하니까 IP도 track하기 어려울테니 관리당국도 골치가 아프겠네요.

실제로 이런 방식이 널리퍼지면 영화/TV 컨텐츠 산업은 망하겠죠. MPAA에서 큰 위협으로 느꼈는지, 압력을 행사해서 사이트를 닫게하고 github의 project를 지우게 했나봅니다. Original developer가 닫고 떠났는데, 다른 사이트에 fork되서 다시 개발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Open source로 하게되면 절대 없어질수가 없지요.

현재는 Windows, MAC, Linux, Android까지 다 지원합니다. Android 5.x(Lollipop, LP)은 안되는듯.

http://en.wikipedia.org/wiki/Popcorn_Time

https://github.com/popcorn-official

https://git.popcorntime.io/groups/popcorntime

 

  ----------------

안드로이드앱중 Popcornflix라고 있던데, 예도 이름상 Popcorn Time에서 fork해서 자기만의 앱까지 만들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확인해보지 않았습니다) 영화 리스트를 보니 독립영화나 다큐멘터리등이 많은것 같고 이유는 저작권 공격을 피해가기위한 작전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10. 11:36

내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

미국의 e-learning site 중 하나인 Lynda.com 이 $1.5B에 Linkedin에 인수된다고 하네요. 헉. 또하나의 '내꿈이 이루어 지는 나라'에서나 생길법한 일이네요. '내 꿈만 이루어지는 나라'에서는 상상할수가 없네요. 이런 업종으로 1.5조원의 가치를 인정받는다는게.

Lynda.com은 여러가지 온라인 교육을 받을수 있는 곳인데 1년전에 우리회사도 모든 직원에게 여기 강좌를 access할수 있게 열어줬지요. 너무 초보적인것이 많고 포토샵과 그와 비슷한 강좌가 많아 별로였으나 시간이 갈수록 수요가 많은 강좌를 계속 추가해가더군요. 가끔씩 들어가서 보고 앉아있을수 있으면 좋은 내용많이 있습니다. 빠르게 강좌도 계속 추가되고요. 기업 교육용 시장을 잘 개척한것 보면 수익도 내고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가장 부럽다고 생각하는 점은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꾸준히 하면 꿈을 이룰수 있다는 평범한 이야기가 동화속에만 있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나라네요. 제가 이 나라에서 자랐더라면 아마 밴쳐기업을 만들던지 밴쳐에 들어가서 일을했을것 같네요.

Lynda Weinman's e-learning website was acquired by LinkedIn for $1.5 billion. PHOTO:MICHAEL GERMANA/EVERETT COLLECTION

 

http://www.wsj.com/articles/lynda-com-a-60-year-old-earns-internet-glory-1428625176?mod=WSJ_hp_RightTopStories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반기 안드로이드 중 LG G4가 가장 기대되는 이유  (0) 2015.04.13
Free Netflix, Popcorn Time  (0) 2015.04.13
아마존 e북의 대항마 – 굴(Oyster)  (0) 2015.04.10
Nikno D5500 추천  (0) 2015.04.09
Intel Computer Stick  (0) 2015.04.09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10. 01:49

책 시장에서는 모르긴 몰라도 킨들(Kindle)을 앞세운 아마존(Amazon)이 독보적이겠죠. Amazon Kindle unlimited는 $9.99에 무제한으로 책을 읽을수 있습니다. 책 시장에 부풰 네요. 저는 한달에 하나 읽을까말까라서 구지 맞지 않지만, 어떤사람에게는 정말 저렴하게 무제한 지식의 보고를 여행할수 있는 기회가 되겠습니다. 은퇴하면 이런거 하나해서 하루에도 몇권씩 읽어보면 좋겠습니다.

한쪽으로 편중되다보니 사식 독과점적 지위를 이용한 정책이 문제가 되는데, 이에 대항하는Oyster (먹는 굴할때 같은 단어)가 강력하게 뜨고 있네요. 아직까지 아마존에 비해서 좋은점은 하나도 없을것 같네요. 그래도 시작은 서로 경쟁을 잘 했으면 좋겠습니다.

https://www.oysterbooks.com/

 

----------------------------

http://bgr.com/2015/04/08/oyster-netflix-for-books-ebook-sales/

By Jacob Siegal on Apr 8, 2015 at 7:15 PM

Email @JacobSiegal

If you haven't heard of Oyster, the most apt way to describe it is as "the Netflix for books," allowing users to pay a monthly subscription fee for access to its catalog of over 1 million digital titles. On Wednesday, the company launched what it is calling Oyster 2.0, which includes a full eBook store that might stand a chance of rivalingAmazon's ubiquitous storefront.

"With our new ebook store, virtually any book you can think of is available on Oyster, including all new releases and pre-orders like Harper Lee's Go Set A Watchman and Jonathan Franzen's Purity."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ee Netflix, Popcorn Time  (0) 2015.04.13
린다 그 린다 말고 – lynda.com  (0) 2015.04.10
Nikno D5500 추천  (0) 2015.04.09
Intel Computer Stick  (0) 2015.04.09
컴퓨터 앞에 앉아 명화를 감상 – 구글 아트  (0) 2015.04.08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9. 10:23

니콘 D5500 정도면, 35mm 단렌즈 하나랑 충분히 아마추어 작품활동할만하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캐논거 다 팔고 이거 하나 사고 싶네요.

http://www.dpreview.com/reviews/nikon-d5500

Nikon D5500 key features

  • 24.2MP CMOS sensor with no optical low-pass filter
  • Ultra-compact and lightweight body
  • Multi-CAM 4800DX 39-point autofocus system
  • 2,016-pixel RGB metering sensor, used for 3D subject tracking in AF-C
  • Sensitivity range of ISO 100-25,600
  • 5 fps continuous shooting
  • 1/4000 sec maximum shutter speed
  • 3.2", 1.2M dot fully-articulating touchscreen LCD display
  • 1080/60p video with clean output over HDMI and Flat Picture Control
  • Built-in Wi-Fi

Compared to D5300

  

Nikon D5300

Nikon D5500

Pixel count

24.2MP

Processing engine

EXPEED 4

Optical low-pass filter

No

ISO range (expanded)

100-12,800
(expandable to 25,600)

100-25,600

AF system

Multi-Cam 4800DX (39-point)

Maximum frame rate

5 fps

Maximum video quality

1080/60p

Flat picture control

No

Yes

LCD specs

3.2" 1.2M dot fully-articulating

Touch-enabled LCD

No

Yes

Eye sensor

No

Yes

Wi-Fi

Yes

Built-in GPS

Yes

Optional (GP-1A)

Battery used

EN-EL14(a)

Battery life

600 shots

820 shots

Dimensions

125 x 98 x 76mm

124 x 97 x 70mm

Weight

480 g

420 g

 

Conclusion - Pros

  • Excellent image quality with wide dynamic range
  • Compact and light yet well-built body with perfectly designed grip
  • 3.2" fully articulating LCD ideal for video and tripod use
  • Touchscreen makes menu navigation and rack focusing easy
  • Impressive focus tracking despite low resolution metering sensor
  • Advanced Auto ISO controls
  • Good 1080/60p video quality with clean 4:2:2 output over HDMI
  • Flat Picture Control provides more latitude when post-processing video
  • Strong battery life
  • Built-in Wi-Fi

Conclusion - Cons

  • Fine detail in JPEGs can get smudged at higher ISOs
  • Lacks second control dial found on most of competition
  • Limited buffer memory affects continuous shooting and bracketing when using Raw
  • No aperture control or Auto ISO in movie mode
  • No exposure simulation in live view
  • Buttons are very small
  • Very basic, often unreliable smartphone app
  • Missing the GPS receiver of its predecessor

---------------------

센서 성능이 캐논 기종과 비교하면 정말 넘사벽이네요. DxOMark 센서성능으로는 캐논 Full Frame(FF)도 바를 기세네요. 니콘이 카메라는 잘 만드는데, 다른게 좀 떨어지네요. 고집좀 일찍 버렸으면 대성했을텐데.

http://www.dxomark.com/Cameras/Nikon/D5500


--------------------------

요즘 35mm f/1.8 렌즈가 $150 하네요.

Nikon AF-S Nikkor 35mm f/1.8G DX Wide Angle Lens + UV Filter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9. 03:56

인텔이 정말 잘 만들었네요. 스틱만한 컴퓨터라니요. 첫 모델이니 상징적인 의미가 강하겠지요 가치보다는. 가지고 다니다가 아무 TV나 모니터에 꼽아서 사용한다는 아이디어는 정말 좋습니다. 막 땡기고 몇년후 어떤 세상이 열릴까 궁금하게하는 첫 발자국이네요. 10년후에는 우리가 쓰는 강력한 핸드폰도 어떻게 10년전에는 사람들이 저런것으로 살았을까 할테니까요.

  • Window 8.1 : $150, Quad-core 1.33GHz Intel Atom with 2GB of RAM, 32GB of solid state storage
  • Linux : $100,  Quad-core 1.33GHz Intel Atom with 1GB RAM, 8GB storage

이 기본 가격인데, 현재 pre-order는 좀더 비싸게 받고 있나봅니다. 아무래도 수요가 높으니 할수 없겠지요. 대부분의 일반용도는 저렴한 tablet을 하나 사서 TV에 붙이면 더 저렴하게 이용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윈도우 사양이 더 좋아서 되도록 윈도우 사양으로 사야겠네요. 리눅스를 깔더라도요.

Intel's Compute Stick is a 4-inch dongle that turns a big screen into a computer. (Intel)

 

http://americasmarkets.usatoday.com/2015/04/07/intels-new-compute-stick-nears-arrival/

http://www.engadget.com/2015/04/06/intel-compute-stick-pre-order/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8. 05:50

 

구글 얘네들의 목표는 지구를 복제해 넣는것이라고 한다. Google Cultural Institute Project, 그중에 ART는 정말 죽인다. 컴퓨터에 앉아서 모든 박물관 작품을 확대해 가며 볼수 있다니.

https://www.google.com/culturalinstitute/project/art-project

 

Night Watch - Rembrand
http://www.google.com/culturalinstitute/asset-viewer/the-night-watch/eQEojRwTdypUKA?source=kp&hl=en&projectId=art-project


Angelus -
Jean-François Millet
http://www.google.com/culturalinstitute/asset-viewer/the-angelus/CgHjAgexUzNOOw?hl=en&projectId=art-project

신윤복의 단오

https://www.google.com/culturalinstitute/asset-viewer/scenery-on-dano-day/cQHfga6neefWmA?projectId=art-project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Nikno D5500 추천  (0) 2015.04.09
Intel Computer Stick  (0) 2015.04.09
5세대 I5 노트북 17인치  (0) 2015.04.06
삼성 갤럭시 S6 밴치마크  (0) 2015.04.04
트위치, Twitch에서 게임을 보고 앉아있네  (0) 2015.04.04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6. 13:14

저는 어차피 차에 실고 다니는거 구지 비싼 작은거 보다는 크고 싼게 더 좋더군요. 빠르기도 하고, 17인치는 되어야 모니터에 안연결해도 쓸만하고요. $400 싸다. 그래픽 성능도 좋고.

인텔 5세대 칩으로 좋은 딜들이 많이 나오네요. 년말에 블랙 프라이데이(Black Friday)때 버티긴 좀 어렵겠네요. 


 

Specs

  • Intel 5th Generation Core i5-5200U CPU
  • 6GB DDR3 Memory
  • 750GB Hard Drive
  • 17.3" 1600x900 LED Display
  • Intel HD Graphics 5500
    • 1x HDMI
    • 2x USB 3.0, 1x USB 2.0
  • DVD±RW Drive
  • 4-Cell Battery
  • Windows 8.1
15.6인치에 같은 가격에 laptop도 있는데, 아래것은 집에서 모니터에 연결할 생각이면 좋지만, 싼거 말고는 별다른 끌림은 없어보이네요.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l Computer Stick  (0) 2015.04.09
컴퓨터 앞에 앉아 명화를 감상 – 구글 아트  (0) 2015.04.08
삼성 갤럭시 S6 밴치마크  (0) 2015.04.04
트위치, Twitch에서 게임을 보고 앉아있네  (0) 2015.04.04
GoDaddy IPO  (0) 2015.04.03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4. 12:11

 

밴치마크는 사실 자기들이 유리한것이 있고 없고가 있어서 사용자의 실제 사용느낌을 다 반영하기는 어렵지만, 많은 사람들이 돌리는 벤치마크로 S6가 잘 나오는것 같습니다. S6보다 S6 Edge가 좀더 낮은것은 정말 특이하네요. 첫번째 그래픽 성능도 좋다고 하는 기사인데 사실 그럴것 같지는 않고요.

두번째 기사는 그래픽 성능만 보면 IPhone이 여전히 젤 좋다고 하는 기사가 있고, S6는 Iphone 5S보다 못하기도 한 결과가 있다고 하네요. 밴치마크 결과를 떠나서 아이폰이 해상도도 낮게 최적화 되어있어서 실제 빠릿빠릿함은 따라갈 안드로이드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

http://www.androidauthority.com/galaxy-s6-first-place-antutu-q1-2015-598277/

Popular benchmarking platform AnTuTu has published its Q1 2015 performance report for smartphones, listing the average scores of the top 10 handsets to pass through its test. The results are very favourable for Samsung and MediaTek, but raise more questions about Qualcomm's latest high-end Snapdragon processor.

The averaged AnTuTu results find the Galaxy S6 to be a rather nippy device, reflecting our own earlier tests. The Galaxy S6 and S6 Edge top the chart by quite a margin, followed by the new HTC One M9 and then a range of last year's flagship smartphones. Samsung appears vindicated in its choice to exclusively use its in-house 14nm FinFET Exynos 7420 in its latest flagship.

Outstripping its reputation, the MediaTek MT6595 powered Meizu MX4 manages to retain its spot in the top 5 from last year. The MT6595 is built from four Cortex-A17 and four A7 CPU cores, combined with a PowerVR Series6 GPU. MediaTek's high-end chips are clearly capable of taking on the big SoC brands these days.

However, what is perhaps most interesting about these results is the mediocre performance demonstrated by Qualcomm's Snapdragon 810, found inside the HTC One M9 and LG G Flex 2. While the One M9, on average, shows some improvement over last generation Snapdragon 805 handsets that make up the bulk of the list, the G Flex 2 sits towards the bottom of the top 10.

While we may not have expected the Snapdragon 810 to exactly match the 14nm Exynos 7420, we anticipated a clearer gap between Qualcomm's new chip and the 28nm Snapdragon 805 series.

Benchmarks being only a semi-accurate reflection of real-world performance, it is tough to say exactly what, if anything, is holding the Snapdragon 810 back. A software or task management burden is vaguely possible, but it's difficult not to suspect that the unverified overheating issue haunting the Snapdragon 810 might have more to do with it. Throttling back performance to prevent overly high temperatures is common in all chips. However, if the 810 is running even moderately hotter than the last generation, throttling could be taking place faster than usual to reduce the chip's peak performance, which would definitely show up in a benchmark test.

Furthermore, the AnTuTu GPU performance test reveals a result much more in line with what the chip specification sheets would suggest. The Exynos 7420's Mali-T760 MP8 GPU shows a slight advantage over the Snapdragon 810's Adreno 430, which in turn shows the sort of improvement that we were expecting compared with the Snapdragon 805's Adreno 420 and 801's Adreno 330. It seems that the 810 is underperforming on the CPU side, which lines up with the rumored cause of the overheating problem.

As damning as the list looks, we don't have any complaints about the performance offered by the HTC One M9. Although the same can't be said for the LG G Flex 2.

While not conclusive proof of any major issue, the results are disappointing for Qualcomm's chip and may cast further doubt over current and upcoming smartphones powered by the Snapdragon 810. Rumors such as LG's G4 potentially switching to the Snapdragon 808, aren't helping the situation either.

Even so, Qualcomm is still the most dominant SoC manufacturer in the high-performance smartphone market, for now, with 7 out of 10 devices in the list using a Snapdragon chip. It remains to be seen if Qualcomm will retain its market dominance in the high-end space throughout 2015, or if this year will present opportunities for MediaTek or Samsung to grab a bigger share.

-------------------------

http://www.forbes.com/sites/gordonkelly/2015/04/01/iphone-6-galaxy-s6-speed-test/

detailed report on AppleInsider has found graphics performance on the Galaxy S6 to fall not only far behind the iPhone 6 and iPhone 6 Plus, but in some cases even behind the iPhone 5S. It's a landslide victory.

The tests use Kishonti Informatics' respected GFXBench (v3.0.2) and use OpenGL ES 2.0 and 3.0 benchmarks. The benchmark uses game-mimicking graphics to attain their results and is often seen as one of the more reliable tests for indication of real world performance.

Left to right: Galaxy S6, Galaxy S6 Edge and iPhone 6 (proportional comparison) – credit Gordon Kelly

Read more – iPhone 6 Vs Galaxy S6 And Galaxy S6 Edge: Samsung Gatecrashes Apple

Most notably AppleInsider claims that "In terms of fps [frames per second], the latest benchmarks show that Samsung's new 'Exynos 7' powered Galaxy S6 drops down to 15 fps—just 78 percent of the frame rate of iPhone 6 Plus—in the same test [OpenGL ES 3.0 3D]."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4. 11:59

한번 둘러보니 자꾸 빠져들게되는 매력이 있네요.

예전에 좀 했던 Counter Strike(CS)에 들어가보니 젤 많이 보는 채널이 있는데, 친구들과 모여서 재밌게 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여자친구도 같이 game을 하면서 방송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됐는데, 여자친구를 예쁘게 화장까지 시켜서 얼굴마담 노릇도 잘 하고 있는것 처럼 보입니다.

Game PC사양이 정말 장난아닌데, 여자친구 사양까지도, 이 친구는 streaming 용 PC까지 따로 두고 있네요. 헉~

수입원은 subscribe하려면 기본적으로 돈을 내야하고, 별풍선처럼, 광고도 붙이고, YouTube 채널로 유도해서 거기서 수익도 내고 그런것 같습니다. 자기가 재밌어 하는 것을 하면서 돈을 벌수 있는데, 그래도 오래가는 것은 아니니 여기에 너무 말뚝 박을생각은 하지 않아야 겠지요.

 

 

Gaming PC Specs

  • NZXT Phantom 820 Full Tower
  • i7-4770K 3.5 GHz CPU
  • MSI Z87-G45 Gaming Mobo
  • 32 GB G SKILL Ripjaws X Ram
  • Nvidia GeForce 780ti GPU
  • 3 TB Seagate Barracuda HDD
  • 512 GB Samsung 840 Pro SSD
  • Corsair Pro Series 860W Power Supply
  • Razer Deathstalker Keyboard
  • Razer DeathAdder Mouse
  • Asus VH236H 2ms LCD (3)
  •  

    Streaming PC Specs

  • Bitfenix Prodigy mATX Tower Case
  • i7 4770k Haswell CPU
  • Gigabyte Z87M LGA1150 Mobo
  • G Skill RipJawsX 16 GB DDR3 Ram
  • Corsair CX750M PSU
  • Samsung 840 EVO 120GB SSD
  • Cooler Master Hyper 212 EVO CPU Cooler
  • Focusrite Scarlett 2i2 Audio Interface
  • Behringer XENYX 12 Channel Mixer
  • Avermeda Live Gamer HD (Console)
  • Dxtory & Open Broadcast Software (PC)
  • Astro A40s Headset
  • Audio Technica AT2035 Mic
  • Logitech C920 1080p HD Webcam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세대 I5 노트북 17인치  (0) 2015.04.06
삼성 갤럭시 S6 밴치마크  (0) 2015.04.04
GoDaddy IPO  (0) 2015.04.03
Samsung Galaxy S6 and S6 Edge 대박칠수 있을까?  (0) 2015.04.02
데이타 사용량 차이는 왜 날까?  (0) 2015.04.02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3. 05:19

내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

 이번주 최대 쇼킹한 뉴스라면 GoDaddy가 IPO에 성공해서 오늘날짜로 $4B market cap에 가까워졌습니다. 한국돈으로 4조-5조 되나요. 그동안 GoDaddy는 Nerd와 미녀를 역어 자극적인 광고를 잘(!) 해왔습니다. 상당히 자극적이라 잊혀지지 않는 광고. 그러나 광고는 기억하는데 GoDaddy가 뭐하는 곳인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고요. 왜 이름을 GoDaddy로 지었는지 아직도 모르겠습니다.

GoDaddy는 Web Hosting 업체지요.(이것도 뭐하는 회사인지 모르는 사람이 많지요) 이런 업체가 IPO를 할수 있고 성공할수 있다니, 정말 미국은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입니다. 내가 자란 한국에서는 최소한 이런거 해서 창업해서 성공하기도 어렵고 겨우 밥먹고 살거나 몇년하다 망했거나 하지요. 경쟁도 심하거니와 진입장벽이 낮아 저가 덤핑도 많고 잘한다 하더라도 대기업이 인수해줄리 없고 써줄리 없고. 웹호스팅으로 GoDaddy 창업자들은 상당히 큰 부를 쥐었겠네요. 미국은 이런 것으로 창업해도 엄청난 부를 쥘수 있는 '내 꿈이 이뤄지는 나라입'니다.

저는 20년전부터 여러 호스팅 업체를 이용해봤지만, 이 회사는 상당히 interface고 깔끔하고 서비스 질도 좋습니다. 게다가 한발 담그면 서비스를 추가나 upgrade를 계속 권하면서 계속 차곡차곡 돈을 쌓더라고요. 아주 인상적이긴 했습니다. 저 처럼 돈 들이기 꺼려하는 사람도 낚아내는거 보면. 미녀를 동원한 마케팅도 잘 잡았다고 생각되는게, 웹호스팅 업체의 문을 두드리는 사람이 Nerd말고 누가 있겠어요. 초기에 미녀를 내세워 빠르게 수요자들은 끌어당겼다고 봅니다. 또 잘하고 있는것이 미국의 small business의 owner가 58% 여자라는 통계를 들어 이제는 미녀 마케팅을 중단한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cash flow를 만들어야지요.

전체적으로 좋은 회사라 생각하고 기술력도 마케팅도 좋다고 생각 하지만, 아무리 미국이지만, 이런 호스팅 회사가 오래갈수 있는 회사라고 보지는 않습니다.

 

 

*예전 첫화면중 하나, 예쁜 모델이 나와있어 하나 사고싶게 만드네요.

 

*2015/04/02 자 첫화면

Posted by 쁘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