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야기2015. 4. 21. 03:36

ID3 TAG가 잘 들어가 있을것 같은 파일을 받아도 영문윈도우에서는 이렇게 한글이 깨져버립니다. 파일은 binary이니 폰에 집어넣으면 좋아지려나 해도 마찬가지로 깨져요. 특이한것은 어떤것은 안깨지는 것도 있다는 거지요. 이겅 멍미. 한글 인코딩에 문제가 있는건데. ID3를 저장할때 ID3v2.4에 UTF-8 으로 하면 해결이 될텐데, 문제는 깨진것을 다시 복구하기가 어렵다는 것. 아직 이해가 잘 안됨. binary 파일이 깨진다는 것이.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witch – 게이머를 위한 YouTube  (0) 2015.04.23
utorrent 지우자~  (0) 2015.04.21
안드로이드 RAM 먹는 하마  (0) 2015.04.16
Huawei P8  (0) 2015.04.16
Mobile GPU Teardowns/Benchmark  (0) 2015.04.16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16. 05:24
삼성 노트4가 아이폰 보다 램도 많고 좋은것도 많은데 윈도우쳐럼 중간중간 Sleep을 하는건지 빠르지도 않고.


5개 App 사용램만 더해보니, 364MB. 그럼 안드로이드가 2GB가량 먹고있는거야? 도대체 뭐가 먹고 있는거야?

며칠전 버라이존 노트4도 롤리팝(lollipop, lp) upgrade가 나와서 바로 update했습니다. update하자마다 카메라를 눌러 사진을 하나 찍는데 crash. 된장. 이런거 테스트도 안하나? 요즘 오픈소스로 quality를 기대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습니다. 역시 모두가 다 인정하는 위대한 제품을 만들려면 open source로는 안되는 걸까요?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torrent 지우자~  (0) 2015.04.21
MP3 ID3 한글 깨지는것 - 복구는 불가능한듯  (0) 2015.04.21
Huawei P8  (0) 2015.04.16
Mobile GPU Teardowns/Benchmark  (0) 2015.04.16
Who the heck is Popcorn Time?  (0) 2015.04.15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16. 04:54

요즘 발표되는 새 smartphone중 눈에 들어오는 화웨이 P8. 화웨이 자체 chip인것 같습니다. Kirin 935 chipset.

좀 오래된 A53 8 core, big-little 구조인데, 댓글에서 보면 TSMC의 16nm공정일거라고 합니다. 헉~ 똘똘한데. 성능은 최고는 아닐지라도 충분할것 같고, power도 많이 안먹을것 같네요. GPU는 ARM Mali일것으로 추측됩니다.

------------------------------------

posted on04 Apr 2015, 13:33

Reply

9. frmrVZguy (Posts: 42; Member since: 10 Mar 2012)

The Kirin 930 is reported to be the first from TSMC using its 16nm finfet process node, aka 'launch' chip. Samsung was first to finfet SoC with its 14nm node. Search on this article title: "TSMC gains growth momentum from 16nm technology 2015-04-02" from a Taiwan news site in English.

------------------------------------

http://www.engadget.com/2015/04/15/huawei-p8/

http://www.gsmarena.com/huawei_p8_has_a_64mm_allmetal_unibody_52inch_screen-news-11908.php

 

따로 팔지만, 뒷 커버가 E-Ink로 될수있다고 합니다. 헉~. 저는 Ebook보는거 좋아해서 이런거 엄청 땡깁니다.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P3 ID3 한글 깨지는것 - 복구는 불가능한듯  (0) 2015.04.21
안드로이드 RAM 먹는 하마  (0) 2015.04.16
Mobile GPU Teardowns/Benchmark  (0) 2015.04.16
Who the heck is Popcorn Time?  (0) 2015.04.15
Popcorn Time Trends  (0) 2015.04.15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16. 01:59

벤치마크가 system을 다 대변할수는 없지만, CPU benchmark와 GPU benchmark 두개를 동시에 보는 것은 시스템 성능을 볼수 있는 좋은 측면인것은 맞지요,

Qualcomm이 물량면에서 독보적이었는데 작년에 ARM이 완전 많이 따라왔네요. PowerVR은 Apple에 들어가면서 물량이 무식하게 늘었었고요, Apple이 깐깐하게 선택하고 관리할테니 실제적으로 가장 advance한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역시 GFXBench결과로 Apple IPad에 들어간 PowerVR GX6895이 넘사벽이네요. 이건 desktop 왠만한 GPU와 비교해도 당당할것 같은데요. ARM Mali와Qualcomm Adreno가 차이거 거의 없네요. ARM solution이 이정도로 많이 따라왔나요.

 

3D관련 benchmark라고 보여지는 부분에서는 Tegra가 단연 최고네요. IPhone6에 들어가는 PowerVR GX6450이 엄청 뒤지는것을 보면 Apple이 mobile에서 3D의 중요성을 크게 생각하지 않는거라 보여집니다. 반대로 NVidea는 시장도 없는 3D성능에 계속 목을 맸기때문에 모바일 시장에서 망했었다고 봐도 되겠네요. ARM Mali가 상당한 성능을 보여주네요. ARM이 GPU로 돈을 많이 벌것으로 생각되네요. License정책같은것을 알면 도움되겠네요.

 

Intel과 NVida는 아직까지 mobile까지 확장할 준비가 안되어 있네요. Clock이 너무 놓고 소비전력이 너무 높습니다. 퀄컴의 강력한 경쟁자는 ARM이 되겠네요. 독보적으로 좋을줄 알았는데 거의 비슷하다고 보여지고 ARM 솔루션이 좋은 부분도 있네요. 삼성 갤럭시 S6에도 ARM Mali 새로운 버전이 들어갔을텐데, 성능이 정말 궁금합니다. Mali-T760. 물론 퀄컴 S810에도 어마어마한 Adreno가 들어가있지요. Andreno 430. 발열이 좀 있다고는 하는데. ㅋㅋㅋ. S808에는 Adreno 418.

Source : http://www.linleygroup.com/mpr/article.php?id=11346

 

Samsung Galaxy S6 GFXBench result

http://gfxbench.com/device.jsp?benchmark=gfx30&D=Samsung+Galaxy+S6+%28SM-G920x%2C+SC-05G%29&testgroup=overall


Anandtech S6 Benchmark Preview (정말 비교가 detail하네요.)

http://www.anandtech.com/show/9111/samsung-galaxy-s6-and-s6-edge-preview/2


Samsung S6 vs LG G FLEX 2 G, LG G FLEX는 S810의 초기 물량인데도 큰 차이가 안보이네요. 1080p display여서 그럴까요?

http://gfxbench.com/compare.jsp?benchmark=gfx31&D1=Samsung+Galaxy+S6+%28SM-G920x%2C+SC-05G%29&os1=Android&api1=gl&D2=LG+G+Flex+2+%28F510%2C+H950%2C+H955%2C+H959%2C+LS996%2C+US995%29&cols=2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RAM 먹는 하마  (0) 2015.04.16
Huawei P8  (0) 2015.04.16
Who the heck is Popcorn Time?  (0) 2015.04.15
Popcorn Time Trends  (0) 2015.04.15
삼성전자 임원 15%, 117명 임원 줄여  (0) 2015.04.14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15. 11:22

Popcorn Time(팝콘 타임) 우리는 누구인가 하는 글이 있어서 간단히 요약합니다.

https://blog.popcorntime.io/who-the-heck-is-popcorn-time/

많은 소문이 있지만 우리는 오픈 소스 community가 맞다. Popcorn time project는 240여명의 다른 사람이 commit을 했으며 우리는 돈을 받고 일하지도 않고 어떤 조직에도 속해있지 않다.

일년된 프로젝트 치고는 정말 놀랍습니다.

프로젝트는 png, java, js 파일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직접 받아서 열어봤는데 믿어지지가 않을 정도입니다. 왜 무엇이 믿어지지 않을 정도인지는 다음기회에.

 

10 Mar 2015

Who the heck is Popcorn Time?

It's come to our attention lately that people are really confused about the answer to "Who is behind Popcorn Time?", The question has been asked in plenty of places, has been answered with some creative replies, such as that we're owned by another company, or we are actually a project part of various torrent sites... These aren't the right answer. These incorrect answers tend to cause a lot of confusion and even sometimes negative attention for others. We feel it's important to clear up exactly who is behind Popcorn Time.

Many of you have noticed in Popcorn Time it says "Made with love by a bunch of geeks from around the world" and not any particular name or business. That's because we are a community of people. Regular people who think this project is amazing, help spread the word, and make the project better as a whole. Everyone is part of Popcorn Time, the people who help others out on our forum, the people who submit bugs, and make amazing changes to our source code, or the people who help translate, and our users who spread Popcorn Time love every day.

We aren't sponsored by anyone, we don't have a paid team of people behind the project, we aren't a business, and we don't have any affiliations. We are a community. Just some people who are truly dedicated, spending well over forty hours a week to a couple hours or minutes a day. Everyone contributes with the goal of making it amazing for everyone else. Every little bit makes us who we are. The thanks goes to every single contributor.

Just to show how many people have helped make Popcorn Time a reality, here is a short video visualizing the thousands of changes made to our source code. It just goes to show that hundreds of people have made changes... Some of them from the beginning who never left, and some who come and go. On top of all that, it doesn't even show the thousands who submitted bugs and suggested features. If you're interested in more videos, you can find them here

On that wonderful note, Popcorn Time has been around for a year! That's right... Popcorn Time came out February 2014 and continues to go strong today because of everyone mentioned above.

Lets keep the popcorn going for many years to come!

KsaRedFx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uawei P8  (0) 2015.04.16
Mobile GPU Teardowns/Benchmark  (0) 2015.04.16
Popcorn Time Trends  (0) 2015.04.15
삼성전자 임원 15%, 117명 임원 줄여  (0) 2015.04.14
상반기 안드로이드 중 LG G4가 가장 기대되는 이유  (0) 2015.04.13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15. 11:09

 

팝콘 타임 트렌드. Google trends에 따르면 popcorn time의 trend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Netflix와 비교해보니 Netflix가 너무 강한 trend라 popcorn time의 기울기를 잘 보여주지 못하고 있으나 1년간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Torrent와 같이 비교를 하니 netflix보다 torrent가 더 강하네요. Torrent trend가 popcorn time과 연관될수 있기때문에 앞으로 더 무섭게 증가할것도 같습니다. 특히 유럽쪽은 상당히 큰 인기를 끄는것 같습니다. 노르웨이(Norway), 네덜란드(Netherlands), 덴마크(Denmark)는 이미 상당히 대중화 된것으로 예측됩니다.

 

아래 기사에 보니 10여명정도로 시작된 개발이 이젠 세계 각지로 퍼저나가, 가장 큰 popcorn time에는 20명정도 기여하는 사람이 있다고 합니다.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이런 식으로 돈을 받지 않고 공유의 장을 만드는 것은 합법적이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BitTorrent가 불법은 아니죠. 그것으로 무엇을 하냐가 불법을 만드는 것이죠. 토렌토 검색사이트, 토렌트 캐쉬(torrent cache) 사이트도 모두 닫지 못하는 것이 점조직이기도 하지만 유통이 아니라 사람들 스스로 토렌트 파일을 올리고 검색해서 서로 주고 받기 때문일것 같습니다. 웹하드처럼 돈받는 사람과 불법파일을 올려놓은 사람의 경계가 명확한 경우는 일망타진이 쉬울텐데, 저작권자들은 고민이 깊겠습니다.

http://qz.com/344394/hollywood-should-be-very-afraid-of-popcorn-time-the-netflix-for-pirates/

Hollywood should be very afraid of Popcorn Time, the "Netflix for piracy"

In January Netflix, the online video streaming site, used its quarterly letter to shareholders (pdf) to take aim at a rival. Not premium pay TV channel HBO, with which it is locked in an increasingly bitter battle for the best shows and movies; nor cable provider Comcast, with which ithas squabbled over the future of the internet. Rather, Netflix's missive called out a new adversary. "Piracy continues to be one of our biggest competitors," it reads. "Popcorn Time's sharp rise relative to Netflix and HBO in the Netherlands, for example, is sobering."

Popcorn Time is one of the most fascinating stories on the internet at the moment. It is a platform that allows people to access vast swathes of video content without paying for it, but with a clean, legitimate-looking (and somewhat Netflix-y) interface. In other words, it's not a shady looking portal that makes you feel dirty for using it.

Popcorn Time's interface looks a lot like that of any commercial streaming service.

By some estimates, Popcorn Time's user base in the Netherlands rivals that of Netflix. It also appears to be used quite a lot in the US. Bloomberg reported last week that usage of the service in the US more than trebled between July 2014 and January 2015, and it now accounts for one ninth of all torrent traffic in the country. Its rise reflects a sobering reality for the entertainment industry. Despite the widespread success of internet-based content smorgasbords with simple pricing models like Netflix, piracy endures. And TV and movie piracy, at least, is almost impossible to wipe out.

Why there's still demand for video piracy

Unlike in music, where services like Spotify give you a single subscription for almost any track you might want, there is no one-stop shop for video. That's partly because of the way licensing works: Movies are released at different times for theaters, video-on-demand, and then cable TV or streaming services. It's partly also because, unlike in music, video streaming services have chosen to compete by each offering their own exclusive content rather than trying to have the most complete menu. As a result, the best video remains spread out across a confusing phalanx of outlets.

Popcorn Time, according to people who use it, lets you access just about everything on the internet. It operates using the BitTorrent protocol, a file-sharing method that breaks large files into small pieces, which are shared out across the network of its users' computers. When a user wants to download a file, her computer assembles it from pieces stored on other people's computers across the network. This makes it easier to download large files, and harder to pinpoint who is responsible for uploading them, and thus almost impossible to eliminate. (The main difference between Popcorn Time and traditional BitTorrent is that when you choose a file to watch, BitTorrent assembles it first and stores it on your computer's hard drive; PopcornTime just streams it as its components come in).

The site emerged seemingly out of nowhere last year. The people claiming to be its creators wrote that it began as a challenge by "a group of geeks from Buenos Aires who wanted to see if they could create a better way to watch movies." By March last year they had abandoned it because, they said, they "need[ed] to move on with our lives."

1

Yet others quickly took up the baton. There are multiple Popcorn Time sites now; popcorntime.io is the biggest, it has the most likes on Facebook (it passed 100,000 recently) and appears at the top of Google searches. It has a desktop client for both Mac and Windows computers,  plus a Linux version and an Android app.

How Popcorn Time runs on no money

So who is behind this slick operation? Last month I spoke to a person who claims to be Popcorn Time's official spokesperson, a 20-something from Ontario, called Robert "Red" English. He said that there are about 20 people—programmers and designers—scattered across the planet, working on Popcorn Time in their free time. It is an open-source project, so anyone can submit changes to the code, add features, and fix bugs. If he and the rest of the team think a contributor is helping, they will ask him or her to join on a more formal basis. Contributors change frequently.

 "We are a community… I don't think it will be ever turned into a proper business." Popcorn Time has no funding—it's run out of the pockets of the small community behind it—and no business model, English says. Unlike other platforms used for piracy it doesn't even carry advertising."We are a community and we are not really driven by the money of it," he says. "I don't think it will be ever turned into a proper business." In other words, there are no plans to emulate Napster or BitTorrent and seek legitimacy. Napster, the first file sharing site to gain prominence, had a string of legitimate business owners after being shut down, including German Media conglomerate Bertelsmann, US retailer Best Buy, and is now part of streaming music provider Rhapsody. BitTorrent (the company, not the protocol) is backed by venture capital funds including Accel Partners.

So if there's no money in it, why do the people behind Popcorn Time bother? Fun mainly, English says. "A lot of the project is about showing… other companies like Netflix that having the content that's currently on air—the new stuff, not last season—that's what drives people to watch. It's a way of showing the media that you can do better." (No doubt the fact that this gives them and others the ability to watch anything they want for free is also a motivating factor.)

Why it may be safe from lawsuits

The team behind the original Popcorn Time insisted they had checked "Four Times" with lawyers that the service was legal. English says his team has been in contact with lawyers, "but for the most part there is not a lot we need to speak to them about." Popcorn Time does not control or manage any of the content that is accessible through the service; it just provides the method of access. "We are not selling you a product, we are not ripping you off, we are just giving something out for free," he says.

The video and music industry see it differently, of course. There have been countless lawsuits against BitTorrent services and their users. Some, notably in Sweden, have been successful, even ending up in convictions. But in the US, as Mother Jones reported a year ago, judges have been getting more skeptical about the evidence copyright holders present. Basically, an IP address—a number that identifies each computer connected to a network—is no longer considered such a reliable indicator of who has been actually downloading or uploading files.

 "If it's used to infringe copyright, that may itself be a violation, but that doesn't make the tool illegal." The Motion Picture Association of America (MPAA), a trade association for Hollywood studios which has been involved in many lawsuits against copyright offenders, declined to comment on Popcorn Time to Quartz.  So did Netflix. But Parker Higgins from the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a consumer digital rights group, argues that Popcorn Time may be no more illegal than photocopiers or videocassette recorders. The US Supreme Court ruled in 1984 that Sony's Betamax video recorder wasn't illegal because it was capable of "significant non-infringing use." Similarly, Popcorn Time can be used to navigate vast swathes of non-copyrighted material, Higgins explains. "If it's used to infringe copyright, that may itself be a violation, but that doesn't make the tool illegal."

1

The Betamax defense isn't iron-clad. At least two file-sharing sites that tried to use it—Grokster and Streamcast—lost, because the court ruled that they actively encouraged piracy. But that case also marked out a territory within which file-sharing is legal, making it easier for sites like Popcorn Time to stay (just) on the right side of the law.

Why Wall Street is starting to worry

English said the team behind Popcorn Time is aware that the platform is being used extensively in places like the Netherlands and "had a general idea that people were beginning to talk about us." But what he did not realize it was starting to get noticed on Wall Street.

Investment analysts are concerned about its impact on Netflix and big entertainment companies that produce and own content. BTIG analyst Rich Greenfield for one, has repeatedly warned that "Hollywood should be very afraid" of apps like Popcorn Time, which he says could threaten the financial strength of the entertainment business. "The reality is TV everywhere [i.e., online services from US cable TV providers and channels such as HBO Go] has gone nowhere while the piracy sites such as Popcorn Time have continued to innovate," Greenfield says in an email.

Popcorn Time does not track usage and is not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the imitators it has spawned. "In general we don't care," English says, "but when it comes to the ones that install viruses on your computer it pisses us off because it ruins a good name." To think that a group of earnest freelancers working in their spare time could pose challenge to Netflix, a $30 billion company, not to mention media giants that have been around for decades, is staggering. But as long as the big TV and movie studios continue to limit their content to certain online platforms, there'll be demand for a service that provides it all—especially if that service is also free.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14. 11:44

지난해 3분기 실적 악화를 겪고 나서 삼성전자 임원의 15%가 회사를 나간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은 서울 서초 삼성타운 (연합뉴스 자료사진)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4/01/0200000000AKR20150401178600003.HTML?from=search


이 기사기준으로117명이 15%라면 삼성전자 임원수가  780명 언저리 되는군요. 거기에 작년말에 117명 짤랐다고 하니, 상당히 많이 줄인거네요. 무선사업부에서 44명 짤렸다고 하네요. 짤린사람중에 25%라고 하는데, 무선사업부 임원중 20%정도는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래야 물갈이 하면서 이번 년초에 승진된 사람의 자리가 생기겠지요. 년말 년초에 승진한 사람들이 있을테지만, 전체 숫자는 줄었을것 같네요.

짜를때는 이상한 사람도 짤리겠지만, 조직과 맞지않는 사람, 줄을 못잡은 사람이 먼져 짤려나가는 것이 현실이겠죠. 임원들의 세계는 정말 무섭구나 생각됩니다. 삼성전자 평균 임원 근속년수가 5년밖에 안된다고 본것같은데.  50살에 임원달아도 55살이면 은퇴라니. 40살에 되면 몸이 좀 팔팔하니 평균보다는 좀더 가지 않을까요.

그래서 난방열사라고 불리는 삼성전자 전무출신의 김규호 열사도 탄생하고 하는것 같습니다. 이분은 40대 중반밖에 안됐을것 같은데... 젊은 나이에 삼성에서 전무까지 하셨으면 정말 날라 다니셨을거라고 생각됩니다.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o the heck is Popcorn Time?  (0) 2015.04.15
Popcorn Time Trends  (0) 2015.04.15
상반기 안드로이드 중 LG G4가 가장 기대되는 이유  (0) 2015.04.13
Free Netflix, Popcorn Time  (0) 2015.04.13
린다 그 린다 말고 – lynda.com  (0) 2015.04.10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13. 07:33

4월말에 발표되 LG G4가 많은 부분이 유출되었네요. LG에서 의도적으로 유출했다는 말도 있고요. 

http://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news&wr_id=1970607


저는 LG G4를 가장 기대하는 안드로이드 폰으로 꼽고있습니다. 왜냐면

  1. 가격. 아무래도 2년 contract에 $99로 완전 플레그쉽 치고는 초저가로 밀어붙일거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처음부터 그럴지는 알수 없지만 G3를 봐서도 그렇고 삼성과의 경쟁을 봐도 미국시장에서 $99로 시작할수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2. 퀄컴 스냅드래곤 S808이 상당히 괜찮은 놈입니다. 밴치마크 성능으로 최고는 아닐것이지만, 실사용에서 상당히 안정적이고 빠르다고 생각됩니다. LG가 최적화 노력을 더 했을테니 더 기대가 됩니다.
  3. Display(or LCD)가 현존하는 기술중 최고입니다. 삼성의 아몰레드냐 LG의 IPS냐 호불호가 바뀔수는 있지만, 둘다 좋은 display panel이지요. 하지만 제가 가진 2-3년된 G2와 삼성 노트4와의 비교에도 저는 G2가 좀더 더 맘에 듭니다. 더욱 개선된 IPS Quantum display는 사람의 마음을 뺏어놓기에 좋을것 같습니다.
  4. 배터리외장SD카드만 가지고도 선택하는 사람이 많을 겁니다. 배터리 용량도 3000mAh로 크네요.
  5. 카메라 성능도 좋을거라 믿습니다. f/1.8 이라니. 쩜팔이네요.
  6. 디자인도 G 쓰리즈의 완성처럼 잘 다듬도 구부리기까지. 잘 했다고 보여집니다. 
살다보니 LG 스마트폰 응원도 하게되는군요. 다 좋으니 가격만 계념 탑재해서 팔았으면 좋겠습니다.
P.S. 삼성 갤럭시 S6, S6 Edge도 잘나왔는데, 가격이 좀 비싼게 흠이고, 빨리 가격을 더 내려야 할것이라고 봅니다.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pcorn Time Trends  (0) 2015.04.15
삼성전자 임원 15%, 117명 임원 줄여  (0) 2015.04.14
Free Netflix, Popcorn Time  (0) 2015.04.13
린다 그 린다 말고 – lynda.com  (0) 2015.04.10
아마존 e북의 대항마 – 굴(Oyster)  (0) 2015.04.10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13. 03:18

For new movies, better than Netflix.

넷플릭스는 상업적으로 가정 성공한 video streaming 사이트지요. 자체 영화나 드라마도 제작하고 엄청난 사용자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막상 들어가 보면 최신것은 없고, 오래된것도 없는게 많고. 그래도 $7.99 면 싸다고 생각되지만, 부족한 점이 많지요. 특히 새로운 영화를 보고 싶을때는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하는데.

https://popcorntime.io/

Popcorn Time이라는 Open Source project이 있습니다. 이것은 bittorrent(토렌토, 토렌트)를 기반으로 media player까지 포함하는 project라고 합니다. 팝콘 타임 사이트에 가서 앱을 다운받으면 영화 리스트를 볼수 있습니다. 거기서 영화를 click하면 볼수 있습니다. simple하지요. 화질도 정말 좋고 속도도 엄청 빠릅니다.제가 상당히 재밌게 본 부분이 bittorrent로 sequential downloading 을 지원한 점입니다. 막연히 그렇게는 안되는거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역시 사람은 배워야.

어떻게 이런게 가능하냐에 대해서… 불법일까. Bittorrent로 구현한것을 불법은 아니지만 영화를 리스팅하고 볼수 있게해주는것은 불법이겠죠. 보는 사람도 불법이구요. Bittorrent 특성상 내가 download를 받으면 다른 사람에게 upload를 하기때문에 가중 처벌될수가 있지요. 그러나 이 경우는 스트리밍이라 입증하기가 쉽지않을것 같습니다. 최근 몇개를 봤다고 입증하더라도 download의 경우 몇년동안 다운받은 영화 100개씩 발견되면 1개당 얼마씩해서 손해배상 청구할수 있는데, 스트리밍은 로컬에 저장되지 않기때문에 최근 몇개정도만 증명해서는 크게 처벌도 어렵고요. VPN access까지 지원하니까 IP도 track하기 어려울테니 관리당국도 골치가 아프겠네요.

실제로 이런 방식이 널리퍼지면 영화/TV 컨텐츠 산업은 망하겠죠. MPAA에서 큰 위협으로 느꼈는지, 압력을 행사해서 사이트를 닫게하고 github의 project를 지우게 했나봅니다. Original developer가 닫고 떠났는데, 다른 사이트에 fork되서 다시 개발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Open source로 하게되면 절대 없어질수가 없지요.

현재는 Windows, MAC, Linux, Android까지 다 지원합니다. Android 5.x(Lollipop, LP)은 안되는듯.

http://en.wikipedia.org/wiki/Popcorn_Time

https://github.com/popcorn-official

https://git.popcorntime.io/groups/popcorntime

 

  ----------------

안드로이드앱중 Popcornflix라고 있던데, 예도 이름상 Popcorn Time에서 fork해서 자기만의 앱까지 만들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확인해보지 않았습니다) 영화 리스트를 보니 독립영화나 다큐멘터리등이 많은것 같고 이유는 저작권 공격을 피해가기위한 작전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10. 11:36

내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

미국의 e-learning site 중 하나인 Lynda.com 이 $1.5B에 Linkedin에 인수된다고 하네요. 헉. 또하나의 '내꿈이 이루어 지는 나라'에서나 생길법한 일이네요. '내 꿈만 이루어지는 나라'에서는 상상할수가 없네요. 이런 업종으로 1.5조원의 가치를 인정받는다는게.

Lynda.com은 여러가지 온라인 교육을 받을수 있는 곳인데 1년전에 우리회사도 모든 직원에게 여기 강좌를 access할수 있게 열어줬지요. 너무 초보적인것이 많고 포토샵과 그와 비슷한 강좌가 많아 별로였으나 시간이 갈수록 수요가 많은 강좌를 계속 추가해가더군요. 가끔씩 들어가서 보고 앉아있을수 있으면 좋은 내용많이 있습니다. 빠르게 강좌도 계속 추가되고요. 기업 교육용 시장을 잘 개척한것 보면 수익도 내고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가장 부럽다고 생각하는 점은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꾸준히 하면 꿈을 이룰수 있다는 평범한 이야기가 동화속에만 있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나라네요. 제가 이 나라에서 자랐더라면 아마 밴쳐기업을 만들던지 밴쳐에 들어가서 일을했을것 같네요.

Lynda Weinman's e-learning website was acquired by LinkedIn for $1.5 billion. PHOTO:MICHAEL GERMANA/EVERETT COLLECTION

 

http://www.wsj.com/articles/lynda-com-a-60-year-old-earns-internet-glory-1428625176?mod=WSJ_hp_RightTopStories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반기 안드로이드 중 LG G4가 가장 기대되는 이유  (0) 2015.04.13
Free Netflix, Popcorn Time  (0) 2015.04.13
아마존 e북의 대항마 – 굴(Oyster)  (0) 2015.04.10
Nikno D5500 추천  (0) 2015.04.09
Intel Computer Stick  (0) 2015.04.09
Posted by 쁘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