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위기 이후로 규제도 많아지고 경제도 실제로 안좋다 보니 은행과 증권회사 직원들이 계속 줄어들고 있습니다.


http://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5-12-31/half-a-million-bank-jobs-have-vanished-since-2008-crisis-chart

----------

한국도 예외일수 없고요. 경제 규모가 작은 나라에서 앞으로 좋아지긴 힘들것 같습니다.

[경제 블로그] 사라지는 증권사.. 찬바람 부는 여의도

[서울신문]베어스턴스, 리먼 브러더스, 메릴린치…. 월가에서 100년 가까운 역사를 자랑하던 이 초대형 투자은행(IB)들은 수년 전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2007년 서브프라임모기지론((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와 이듬해 전 세계를 덮친 글로벌 금융위기로 파산하거나 경쟁사에 인수합병됐습니다. 2007년 5005개였던 미국 증권사는 2012년 4289개로 줄어 14.3%나 감소했습니다. 같은 기간 일본도 317개에서 261개로 29.6%나 줄었습니다.

하지만 국내 증권사는 금융위기 파동 속에서 오히려 숫자가 증가했습니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07년 54개(외국계 포함)에서 2009년 62개로 늘었고, 2013년까지 이 숫자를 유지했습니다.

2007년 4조 4098억원이던 증권사 순이익(대손준비금 반영 전)은 이듬해 반 토막 났습니다. 2013년에는 아예 1893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그간 증권사는 대규모 인력 감축을 통해 생존의 길을 모색했습니다. 2012년부터 3년여 만에 8000여명의 증권맨이 사라졌습니다.

증권업계는 몇 년 전부터 회사도 생존하지 못하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애플투자증권·BNG증권·한맥투자증권이 실적 부진과 대규모 손실로 자진 청산하거나 파산했습니다. 동양증권·우리투자증권·아이엠투자증권은 인수·합병(M&A)으로 간판을 내렸습니다. 업계 2위 대우증권도 팔려 나갔고 LIG투자증권, 리딩투자증권 또한 매각이 진행 중입니다. 지난해 10월 매각이 불발된 업계 5위 현대증권은 언제든지 다시 매물로 나올 수 있습니다. 최근 2년 새 10개 가까운 증권사가 문을 닫거나 흡수될 위기에 처한 것입니다. 국내 시장 규모를 봤을 때 증권사 수는 40여개가 적절하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새해 증권업계는 회사의 명운을 걸고 치열한 생존경쟁에 나설 수밖에 없습니다. 한 증권사 사장은 “모든 분야를 다 처리하는 종합백화점식 영업은 이제 지양해야 한다”며 “대형사든 중소형사든 주력 분야에 집중하는 차별화만이 살길”이라고 말했습니다. 병신년(丙申年) 새해를 맞이하는 서울 여의도 증권가의 바람이 유난히 차갑습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60101052704544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9. 16. 22:45

HP는 이번년에 두 회사로 분할(split)계획이 있지요. Split하기전에 가장 중요한 것은 몸집을 줄이는 것인데 HP가 이미 발표한 55,000에다가 추가고 33,300명을 layoff한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뭔 사람을 이렇게 많이 짜르나 하고 봤더니 현재 30만명이 넘는 임직원을 거느리고 있는 삼성전자보다 더 큰덩치 괴물이었네요. 어쨋거나 이렇게 큰 괴물이 30%정도 인원을 정리하게 될것 같네요.


20세기후반에 IT버블을 만들고 그 후에도 계속 승승장구하던 기업들이 나가떨어지는 것을 보면서 세상이 많이 변했구나 생각이 듭니다.


Key stats and ratios

Q3 (Jul '15)2014
Net profit margin3.37%4.50%
Operating margin4.78%6.45%
EBITD margin-11.77%
Return on average assets3.29%4.80%
Return on average equity12.73%18.57%
Employees302,000-
CDP Score-100 A



-----------------

HP to cut up to 33,300 jobs over next three years

REUTERS - Hewlett-Packard Co (HPQ.N), which plans to split into two listed companies this year, said it expected to cut about 33,300 jobs over three years as the tech pioneer adjusts to falling demand.

The latest cuts, on top of 55,000 layoffs previously announced under Chief Executive Meg Whitman, will mostly be in HP's faster-growing corporate hardware and services operations, to be spun off as Hewlett Packard Enterprise, or HPE, on Nov. 1.

The latest cuts indicate a reduction of the company's total workforce by at least 10 percent, based on its most recent number of more than 300,000 employees as of Oct. 31, 2014, and reflecting the previously announced reduction of 55,000.

Up to 30,000 of the layoffs will be in the enterprise business and up to 3,300 in HP Inc, the company that will continue to make personal computers and printers, HP said in a regulatory filing on Wednesday.

The restructuring will result in pretax charges of about $2.7 billion at HPE and $300 million at HP Inc, which has been hit hard by a relentless decline in sales of PCs.

The charges will be taken between the current quarter and the end of fiscal 2018, ending Oct. 31.

http://in.reuters.com/article/2015/09/16/hp-redundancies-idINKCN0RG0AO20150916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8. 30. 11:28

정확히 말하면 아마존에서 디바이스를 맡고 있는 Lab126 인원들 구조조정이지요.


아마존 폰은 Qualcomm chip의 가장 큰 성공작이었던 MSM8974를 쓰고도 유일하게 대박 실패한 작품이지요.


잘못된 경영진의 판단, 상품기획의 실퍠, 마케팅 실패로 인한 오류를 결국 엔지니어가 떠 안게되는 좋은 예가 될것 같습니다. 잘 만들어 놓고도 특정 기술개발이 늦여져 경쟁 스마트폰보다 1년이나 늦게 출시한것은 명백한 잘못이지요. 게다가 말도안되는 고가전략, 안드로이드 앱 마켓도 안되는 폐쇄적 생태계. 재때에 나오고 가격만 맞았더라면 대박도 가능했겠지요.


엔지니어들이 개발뿐만아니라 상품기획과 경영에 참여하지 않으면 결국 우리가 잘못하지 않은 문제로 칼을 맞을 수 있다는 좋은 예인것 같네요.

---------------



The Wall Street Journal (WSJ) reported that Amazon.com, Inc. (NASDAQ:AMZN) may be planning a change in its workforce. The company has terminated “dozens of engineers,” who worked on the Fire smartphones. The e-commerce giant’s hardware development unit, Lab126, is likely undergoing a strategic change, as numerous employees have been laid off.

In recent months, Amazon rendered two-day and same-day delivery services in some US locations. Its Amazon Prime membership allows users to order every day-use products to be delivered in hours.

In recent past, Amazon has launched many products, although its tech offerings were not ground-breaking. Lab126 was responsible for engineering and developing Amazon’s own line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Fire tablets and smartphones, Kindle products, and other technologically-advanced products such as the Echo.

The company’s latest move pertaining to its Lab126 engineers is likely a measure it took based on the criticism it faced with its Fire Phone. The company introduced its Fire smartphones in the hope to penetrate an industry that is highly saturated and immensely competitive. For the e-retailer, the Fire Phone proved to be a commercial failure.

Most probably, Amazon blames the smartphone’s underachievement to the workforce, which may be why it is rotating it to filter out the weeds.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the company has slowed down many Lab126 projects, which include Project Cairo – a 14-inch tablet, Nitro – a smart stylus, and Shimmer – a projector.

As sources told WSJ, there are several products in plans, and the change in the workforce is probably due to that.

Reportedly, Lab126 is also working on a project codenamed “Kabinet,” which is essentially a “high-end computer for the kitchen.” It is being designed to operate as a home hub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voice commands for various functions, similar to Echo. Some engineers stated that they are planning a new battery for Kindle e-reader, which can last two years.

Although Amazon’s plans are not quite clear, the latest layoffs indicate the company’s tactical shift in the consumer electronics space. Lab126 has nearly 3,000 employees, and one may say that the recent reported layoff doesn’t make any difference.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is the first time the company has laid off workers in the unit’s 11-year history.

While most of Amazon’s native products, such as Kindle e-reader and Fire tablet, were a success, Fire Phone was a disappointment. The absence of the company’s significant impact in the tech industry is probably because it aims to drive growth in online purchases, rather than efforts to play the tech game. If Amazon isolates its e-commerce business from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business, it may prosper. Perhaps, Amazon was more concerned about getting numbers, than devising a game plan for its entry into the smartphone business. The industry’s response to Fire Phone was definitely hurtful for the engineers’ and developers’ morale, and now, some of them have been laid off. While Amazon may be planning a comeback in the mobile industry, we suggest that it should stick to e-commerce.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8. 27. 22:58

우리 아들도 좋아하고 나도 좋아하고, 참 잘만든게인인데, 5년전에 나왔을때와 큰 변화가 없이 계속 욹어만(!) 먹은것이 문제인것 같네요. 경쟁도 너무 심해졌고요. 돈을 벌만한 기회가 많이 줄어든듯. 이번에 영화도 나온다고 하고, 게임도 여러 참신한 시도도 많이해보면 좋겠습니다.

-----------------

Angry Birds maker cutting up to 39% of staff

Angry Birds maker Rovio will cut up to 39% of its staff, the company announced on Wednesday.

About 260 people may lose their jobs as Rovio shrinks its business to concentrate on fewer products. It's the second round of significant layoffs in less than 12 months.

Over the past several years, the Finnish company has pushed itself to do "too many things" in its eagerness to grow and capitalize on its wildly successful Angry Birds franchise.

There are Angry Birds-themed amusement parks, an e-learning service for kids, a series of Angry Birds books, and an online and TV cartoon series based on the game's assortment of animals.

"In our current financial condition we must now put focus on where we are at our best," CEO Pekka Rantala explained in a statement.

The company excels in making games, he added, but the job cuts won't affect staff working on the upcoming Angry Birds movie. It's slated for a 2016 release.

"(I)t is certain that a leaner and more agile Rovio is absolutely necessary to move forward and take the company to new successes in the future," Rantala said.

Angry Birds launched in 2009 and was a worldwide hit within less than two years.

Rovio followed up with several other games that riff on the original concept -- slinging ball-like animal avatars into obstacles. There's everything from Angry Birds Space to Angry Birds Transformers and Stars Wars. But none were as successful as the first.

For many industry watchers, news of the job cuts weren't a surprise. Like Zynga (ZNGA), the maker of Farmville, and King, maker of Candy Crush, Rovio has been betting too much on a single popular game.

Rovio now makes more than 20 games. Some of the newer ones, such as Retry, aren't related to Angry Birds at all, and have seen some success.

But in late July, the company also released Angry Birds 2, an updated version of the free game with more in-app purchase products.

Rovio says the new version has been downloaded almost 50 million times in its first month, which the company says is "good momentum."

Posted by 쁘레드
경제이야기2015. 6. 9. 04:37

56세에 4억을 주고 나가라면 나가야 정상인데, 완전 비정상적인 세상입니다.

좋은 직정을 다 없애자는 것은 아닙니다. 평균을 높여서 많은 좋은 직장이 널려있어야 겠지요. 좋은 직장이 하나도 없으니 공무원에 몰리고 할일없이 직장에서 자리만 깔고 사는 50대가 널려있지 않습니까? 4억을 준다고해도 여기서 버티면 정년까지 40억을 벌텐데하는 사람들이 많아서야 정상적인 사회가 아니지요.


---------

"4억 줘도 싫다" 희망 퇴직 거부한 56세 은행원들의 속사정

입력 : 2015.06.04 13:54 | 수정 : 2015.06.04 15:14

은행원 경력 30년 동안 끝내 지점장을 달지 못한 국민은행 직원 이선건(가명·56)씨는 요즘 좌불안석이다. 얼마 전 회사가 수억원의 목돈을 지급하는 희망퇴직을 고민 끝에 신청하지 않았는데, 앞으로 힘든 보직을 맡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국민은행은 이 씨 같은 희망퇴직을 신청하지 않은 고령 직원의 보직 재배치를 고려 중이다. 고생길이 보이는 상황에서 이 씨가 수억원의 위로금을 쥘 수 있는 희망퇴직을 마다한 것은 은행에 남는 것이 금전적으로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런 이 씨에 대해 국민은행 관계자는 “은행권의 고민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사례”라고 했다.

국민은행은 지난 2일 “1121명 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국민은행은 이들에게 평균 4억원이 넘는 목돈을 안겨줬다. 퇴직금 외에 연차에 따라 28~36개월치 월급에 해당하는 위로금을 지급한 것이다. 또 이들의 재취업을 돕겠다는 명목으로 퇴직 후 1년 간 매달 200만원의 취업지원금을 주기로했다. 이뿐 아니다. 1년 후 원하는 사람에 대해 계약직으로 다시 채용할 계획도 있다.

일반 기업에선 꿈도 꾸지 못할 정도로 후한 조건이다. 서울 여의도에서 일하는 한 직장인은 “이런 조건의 희망퇴직이라면 아무런 고민 없이 바로 신청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국민은행에선 이번에 희망퇴직을 신청하지 않은 직원들이 훨씬 많았다. 이유는 인력과 비용 구조에 있다.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본점./뉴시스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본점./뉴시스

국민은행의 전체 임직원 수는 2만1000명이 넘는다. 사람 수가 많은 것도 문제지만, 더 큰 고민은 인력 구조가 전형적인 항아리형이라는 점이다. 간부급 직원만 수천명이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별로 하는 일 없이 1억원이 넘는 연봉을 받아간다. 은행 내부에서도 젊은 직원들은 “승진은 포기한 채 최소한의 주어진 일도 제대로 하지 않는 사람이 많다”고 불만이다.

결국 효율은 떨어지면서 인건비 부담만 막대한 상황이다. 국민은행은 이런 부담을 덜기 위해 직급별로 15년 이상 근무한 직원 등으로 제한을 둬서 4500여명을 상대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그러나 이 가운데 1121명이 신청을 해서 이번에 회사를 나가게 됐다. 결국 대상자 4명 중 1명 꼴로만 희망퇴직을 하고, 나머지는 은행 잔류를 선택한 것이다.

현재 은행 급여 시스템 상으로 회사에 남는 것이 오히려 합리적이다. 직급이 팀장에 오르면 연봉은 1억원을 돌파하고 지점장이 되면 1억5000만원 까지 오른다. 지점장의 경우 3년을 일하면 4억5000만원을 받을 수 있다. 굳이 희망퇴직을 신청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물론 임금피크제에 들어간 사람들은 고민할 여지는 있다. 그러나 만 55세부터 임금피크제에 들어가면 정년이 기존 58세에서 60세로 연장된다. 월급을 덜 받는 대신 정년이 2년 연장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임금피크제에 들어간 사람 조차 은행에 남는 것이 나은 경우가 많다. 이처럼 일반 직장인들은 평생 만져보기도 어려운 수억원의 목돈도 마다하는 사람이 많자 국민은행에선 어쩔 수 없이 희망퇴직을 요청하는 사례가 일부 나왔다고 한다.

국민은행은 희망퇴직을 신청하지 않은 고연령 직원들을 지점 창구 같은 일선 영업 현장에 배치할 계획이다. 그러면 할 일이 없던 고참 직원들도 강한 영업 스트레스를 받게 될 전망이다. 그러나 노조가 반발하거나, 그럼에도 대상 직원들이 움직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서 인력 재배치의 효과가 크게 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국민은행의 인력 구조는 이번 한 차례의 희망퇴직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또 대부분 은행이 같은 고민을 한다. 은행권 관계자는 “베이비부머들이 줄줄이 퇴직 연령으로 들어서면서 점점 머리가 커지는 형태의 구조로 가고 있다”며 “이들 모두 은행 문을 나설 때까지 고비용 구조가 지속될 것”이라고 했다. 신의 직장 이면의 불편한 현실인 셈이다.


Posted by 쁘레드
경제이야기2015. 5. 30. 09:03



나이가 들어가는 것이 당연하듯, 직업의 귀천은 없지만 직업군의 흐르는 방향성은 있습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직업도 그에따라 흘러가기 마련이죠.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사기업에서 공무원. 개발자에서 테스터, 커스터머 지원 등. 그런데 마지막 단계에 있는 사람들을 나가라고 하는것은 사지로 몰아넣는 것이지요. 소비가 다시는 회복되기 어려운 상황이 되는것이고요.


은행이 사람을 대규모로 줄이면 거기서 일하던 사람은 어디로 갈수 있습니까? 한때 엘리트만 간다는 증권회사가 망하면 거기있는 사람은 어떤 잡을 찾을수 있을까요? 공무원 연금개혁으로 사람들이 공무원으로 몰리는 것을 조금이라도 방지할까 하는것 같은데, 좋은 직장을 늘려가고 평균을 올려가야지 전체를 내려서 평균까지 낮추는게 국가가 할 작전인가요?


한국은 대기업위주의 폐쇄된 경제구조입니다. 중소기업과 밴쳐기업이 받쳐줄수 있는 경제구조가 아닙니다. 노동인력이 flexible하지 않다고 하는데 기업들이 더 변화하질 않습니다. 박정희 대통령때쯤 되는 경제상황에서야 대기업 위주의 작전이 효율적이었을 거다는 부인할수 없지만 세계 10대 경제대국에 근접하면서도 아직도 이 작전밖에 없다면 남은건 공멸밖에 없다고 생각됩니다.


소비가 살수가 없으니 결국 남아있는 대기업도 많은 인력을 유지할수 없겠죠. 다른 좋은 직장이 없는데 이런 상황이 닥쳤으니 IMF보다도 더 어려운 한파가 올것 같습니다. 더군다나 지금 명퇴로 내몰리는 40대중반 이상의 가정에서는 가계부채와 사교육비로 저출률도 낮고 소비여력도 없는 가장 문제가 많은 세대아닙니다. (러다 보니 민주화 세대라는 사람들이 딴라당을 찍고있는 이상한 상황이 나올수밖에요.


우리에게 아주 좋은 기회는 IMF때 구조조정을 통해서 박정희식 주먹구식에서 좀더 체계적이고 단단한 선진국형 경제구조를 만들었어야 했는데, 김대중과 노무현 정권이 한나라당의 딴지로 실패한것이 역사가 더 퇴보하는 꼴이 되고 말았습니다. 그 다음에 이명박/박근혜로 이어지고 있으니 더욱 어둡다고 봐야지요. 앞으로 누가되더라도 이것을 돌리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안전벨트라도 있으면 좋으련만.


-----------------------

14시간전 | 머니투데이 | 미디어다음



21시간전 | 뉴스웨이





2015.05.28 | 스페셜경제




2015.05.22 | 국민일보 | 미디어다음



2015.05.13 | 헤럴드경제 | 미디어다음



2015.05.25 | 매일경제 | 미디어다음



2015.05.07 | 이투데이



2015.05.06 | 이데일리 | 미디어다음



2015.04.17 | 파이낸셜뉴스 | 미디어다음



2014.12.26 | 연합뉴스 | 미디어다음



2015.03.24 | ㈜CBC미디어



2015.02.02 | 경기신문



-----------------------





-----------------------

IMF “한국경제 4大뇌관에 성장동력 휘청”

[1]가계부채 [2]기업투자 부진 [3]소득 불평등 [4]엔低



Posted by 쁘레드
IT이야기2015. 4. 14. 11:44

지난해 3분기 실적 악화를 겪고 나서 삼성전자 임원의 15%가 회사를 나간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은 서울 서초 삼성타운 (연합뉴스 자료사진)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4/01/0200000000AKR20150401178600003.HTML?from=search


이 기사기준으로117명이 15%라면 삼성전자 임원수가  780명 언저리 되는군요. 거기에 작년말에 117명 짤랐다고 하니, 상당히 많이 줄인거네요. 무선사업부에서 44명 짤렸다고 하네요. 짤린사람중에 25%라고 하는데, 무선사업부 임원중 20%정도는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래야 물갈이 하면서 이번 년초에 승진된 사람의 자리가 생기겠지요. 년말 년초에 승진한 사람들이 있을테지만, 전체 숫자는 줄었을것 같네요.

짜를때는 이상한 사람도 짤리겠지만, 조직과 맞지않는 사람, 줄을 못잡은 사람이 먼져 짤려나가는 것이 현실이겠죠. 임원들의 세계는 정말 무섭구나 생각됩니다. 삼성전자 평균 임원 근속년수가 5년밖에 안된다고 본것같은데.  50살에 임원달아도 55살이면 은퇴라니. 40살에 되면 몸이 좀 팔팔하니 평균보다는 좀더 가지 않을까요.

그래서 난방열사라고 불리는 삼성전자 전무출신의 김규호 열사도 탄생하고 하는것 같습니다. 이분은 40대 중반밖에 안됐을것 같은데... 젊은 나이에 삼성에서 전무까지 하셨으면 정말 날라 다니셨을거라고 생각됩니다.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o the heck is Popcorn Time?  (0) 2015.04.15
Popcorn Time Trends  (0) 2015.04.15
상반기 안드로이드 중 LG G4가 가장 기대되는 이유  (0) 2015.04.13
Free Netflix, Popcorn Time  (0) 2015.04.13
린다 그 린다 말고 – lynda.com  (0) 2015.04.10
Posted by 쁘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