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업체의 브랜드 파워/가치가 무섭게 계속 상승중입니다. 우리나라는 브랜드 가치가 올라간것이 오래된 것이 아닌데 중국은 다르네요. 100위권 안에 중국기업이 몇개나 들어간건가요? 10년전에는 China Mobile만 있었는데 2015년 현대 14개 중국회사가 Top 100에 들어왔다고 합니다.


Brand Value growth

shifts to Asia

The greatest brand value growth came

from Asia, specifically China. Ten years

ago only one Chinese brand ranked in the

BrandZ™ Global Top 100 – China Mobile,

a state-owned telecoms provider. Today

14 Chinese brands rank in the Top 100. 



브랜드 가치 아시아 기업 10위로 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삼성이 8위인데 1위와 2위의 격차를 보면 넘사벽이네요. 우리나라가 10년후 아시아 top 10에 이름을 올릴 기업이 있을까 걱정됩니다.



http://www.millwardbrown.com/mb-global/brand-strategy/brand-equity/brandz/top-global-brands/2015/key-results

----------------------------

Top 10 Brands from China 


Rank 

2015 Global Rank 

Brand 

Category

Brand Value 2015 $M

Brand Value 2014 $M

Brand Value % change 2015 vs 2014

1 11 Tencent Technology 76,572 53,615 43%

2 13 Alibaba Retail 66,375 N/A N/A

3 15 China Mobile Telecom Providers 59,895 49,899 20%

4 21 Baidu Technology 40,041 29,768 35%

5 22 ICBC Regional Banks 38,808 42,101 -8%

6 41 China Construction Bank Regional Banks 22,065 25,008 -12%

7 50 Agricultural Bank of China Regional Banks 20,189 18,235 11%

8 62 China Life Insurance 17,365 12,026 44%

9 63 Sinopec Oil & Gas 17,267 14,269 21%

10 65 Bank of China Regional Banks 16,438 14,177 16%

----------------------------

2014년 결과는

----------------------------

----------------------------

----------------------------

Posted by 쁘레드

도요타야 워낙 큰 제국이니 놀랍지도 않지만, 엔저에도 작년에 비해 조금 준 성적은 의야하네요.


BMW와 벤츠는 무섭도록 브랜드가치가 높네요. 차를 비싸게 파는데다가 브랜드가치 높으니 모든 기업이 닮고 싶은 기업인것 같습니다. 럭셔리카 브랜드로 3위쯤 쳐져있는 아우디의 약진이 계속 무섭습니다.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럭셔리 카 회사입니다. 렉서스는 많이 파는데 브랜드 가치가 많이 떨어지네요. 상위 1%에 어필하는게 떨어져서 그런것 같습니다.


Ford는 2014년에도 급성장했는데 이번에도 살 성장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여기에 들지도 못했네요. 10조원이나 부동산에 투자해서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싶어하는 것일까요? 땅값만 10조니 그 자리에 투자될 돈은 30-40조는 쉽게 되겠네요. 차라도 잘 만드는게 오히려 브랜드 가치를 높힐수 있다는 것을 잘 모르나 봅니다. 전공을 우선 잘하고 나서 부전공을 신경쓰는거지요.


자동차의 성능과 퀄리티는 점점 비슷해지는데 어떻게 차별할까가 관건인것 같습니다. 브랜드 가치가 없는 현대는 제값받기가 점점 어렵겠지요. 새롭게 열리는 전기차와 무인자동차 시장에 다른 회사보다 더 빨리 뛰어들면 좋으련만요, 부동산회사가 되려고 하니...



---------------------------

Top 10 Cars

Brand

Value 2015

$M

Brand

Contribution

Brand Value

% Change

2015 vs 2014

1 Toyota 28,913 4 -2%

2 BMW 26,349 4 2%

3 Mercedes-Benz 21,786 4 1%

4 Honda 13,332 4 -5%

5 Ford 13,106 3 11%

6 Nissan 11,411 3 3%

7 Audi 10,127 4 43%

8 Volkswagen 9,283 3 10%

9 Land Rover 4,987 4 N/A

10 Lexus 4,329 3 N/A

---------------------------

2014년 순위는

---------------------------

Consistent quality produces need for more differentiation

Societal trends challenge category growth

Carmakers face a paradoxical dilemma: their product quality is better than ever, but their brands are increasingly difficult to differentiate.

---------------------------

Posted by 쁘레드

시가총액과 다른 재미로 볼수 있는 럭셔리 브랜드 브랜드 가치입니다. 루이비통(루이비똥?) 가지가 독보적이면서 작년에 비해 성장도 많이했네요. 샤넬의 성장률이 좋구요. 프라다는 급격히 가라앉고 있고 버버리는 10위안에 끼는것만으로 다행이네요.

1. Luis Vuitton, 루이비통

2. Hermes, 에르메스

3. Gucci, 구찌

4. Chanel, 샤넬

5. Rolex, 로렉스

6. Cartier, 까르띠에

7. Prada, 프라다

8. Burberry, 버버리

9. Michael Kors, 마이클 코어스

10. Tiffany, 티파니

http://www.millwardbrown.com/mb-global/brand-strategy/brand-equity/brandz/top-global-brands/2015/brand-categories/luxury


2014년 결과는



-----------------------

2014년 리포트와 2015년 리포트를 잘 비교하면 재밌을것 같습니다. 

2015년 BrandZ Top100 리포트

http://www.millwardbrown.com/BrandZ/2015/Global/2015_BrandZ_Top100_Report.pdf


2014년 BrandZ Top100 리포트

http://www.millwardbrown.com/docs/default-source/global-brandz-downloads/global/2014_BrandZ_Top100_Report.pdf

----------------------

브랜드 가치 조사 루이비통>에르메스>구찌>샤넬 순
가치 오른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샤넬 두 곳 뿐

`아..중국이여` 10대 명품, 브랜드 가치 7兆 증발
[이데일리 송이라 기자] 명품 브랜드의 위상이 예전같지 않다. 지난해 상위 10대 글로벌 명품 브랜드 가치는 71억달러(약 7조8700억원)가 공중에 사라졌다. 중국과 러시아 시장이 부진이 명품시장에 큰 타격을 입혔다. 

리서치기업 밀워드브라운(Millward Brown)은 27일(현지시간) ‘2015 브랜드Z’에 명품 브랜드의 가치 변화를 수치로 환산해 발표했다. 

그 결과 지난해 상위 10대 명품 브랜드들의 기업가치는 1050억달러(약 116조1400억원)로 전년 대비 6% 감소했다. 한 해 사이 71억달러가 사라졌다. 

상위 10대 명품 브랜드 중 지난해 가치가 오른 기업은 루이비통과 샤넬 두 곳 뿐이었다. 루이비통의 브랜드 가치는 전년 대비 6% 오른 274억달러를 기록해 10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샤넬의 브랜드 가치는 90억달러로 전년 대비 15% 올랐다. 샤넬은 루이비통, 에르메스, 구찌에 이어 브랜드 가치 4위를 차지했다. 

두 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브랜드들의 기업가치는 모조리 감소했다. 대표적인 명품 소비국인 중국과 러시아 부호들의 판매가 부진한 게 주요 이유였다. 중국은 정부의 부패척결 운동으로 고가 사치품 소비가 줄었고,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싼 서방국의 제재 강화로 루블화가 폭락하면서 소비심리가 위축됐다. 

여기에 마이클 코어스와 티파니 등 주요 명품 브랜드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브랜드들이 약진하면서 명품 수요가 더욱 줄었다는 설명이다. 마이클 코어스와 티파니는 처음으로 톱10 안에 진입했다. 

특히 부진한 실적을 낸 브랜드는 까르띠에와 프라다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까르띠에 브랜드 가치는 전년 대비 15% 감소한 76달러로 6위를 기록했다. 프라다는 같은 기간 브랜드 가치가 65억달러로 전년보다 35% 감소했다. BNP파리바는 “지나치게 비싼 제품 가격과 참신성 부족에 고객들이 프라다 대신 다른 곳으로 발길을 돌렸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에르메스 기업가치는 189억달러로 전년보다 13% 감소했고, 구찌는 14% 감소한 138억달러를 기록했다. 롤렉스는 6% 떨어진 85억달러로 5위를, 버버리는 8위에 각각 랭크됐다. 

이번 명품 브랜드 순위조사는 밀워드브라운의 모회사인 광고회사 WPP가 의뢰해 이뤄진 것으로 300만명의 소비자 설문과 기업 성과 분석을 토대로 작성됐다

----------------------

Brand Building Action Points

1.

Less is more. In luxury, brands cannot be everything to everybody. Focus on developing a unique and niche perspective.

2.

Start collecting data across all different channels of the business. Luxury traditionally has been a space driven by qualitative and artistic expression, rather than data-driven strategies. However, today brands must tap into this new information stream to effectively maneuver the global market.

3.

Heritage remains important; the average age of a BrandZ™ Luxury Top 10 brand is 129. But to cultivate the next generation of luxury customers, brands need to present the brand experience – if not the products – more accessibly.

4.

As people travel more, the luxury brands need to have a consistent brand story that works internationally without being bland, and with resonance for local markets.

- See more at: http://www.millwardbrown.com/mb-global/brand-strategy/brand-equity/brandz/top-global-brands/2015/brand-categories/luxury#sthash.dkA1nrlQ.dpuf

Posted by 쁘레드

태양광 업체는 지금 치킨게임중인데 살아남은 선두업체 몇개가 이 시장을 다 먹을수 있겟지요. 잘 나가던 하너지 결국 분식회계, 주가조작이 가장 문제같네요. 회복한다고 해도 당분간 힘을 발휘하기는 힘들겠지요. 결국 솔라업체뿐만아니라 중국 시장에 대한 불신으로 다시 번질수도 있어서 당국의 대응이 중요한것 같습니다. Owner이름이 Li Hejun 라고 합니다. 이씨네요.

외국계 자본 비율이 상당히 높은데, 파장이 일파만파 커지겠네요.


-------------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H31&newsid=02952006609371216&DCD=A00803&OutLnkChk=Y

24분만에 주가 반토막…최대 태양광 中하너지 쇼크 `일파만파`

李회장 주총불참에 분식회계-주가조작 의혹까지
中대기업 지배구조-태양광산업에도 `먹구름`

[이데일리 김대웅 기자] 트위터와 테슬라의 기업가치마저 뛰어넘으며 글로벌 주식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던 하너지박막발전(HTF) 주가가 돌연 폭락하면서 충격을 주고 있다. 마윈 알리바바그룹 회장을 제치고 중국 최대 부호로 올라섰던 리허쥔 하너지그룹 회장의 자산도 졸지에 14조원 가량 증발했다. 일각에선 이 회사의 분식회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

The Man Who Lost $14 Billion in a Day

http://www.wsj.com/articles/hanergy-plunge-the-man-who-lost-14-billion-in-one-day-1432206736

http://www.wsj.com/articles/goldin-financial-follows-hanergy-downward-1432180027?mod=WSJ_article_EditorsPicks_1



제가 Follow하는 Solar Stock 리스트입니다.

NameSymbolLast priceMkt capAvg vol52wk high52wk lowEPSP/EBeta
First Solar, Inc.FSLR56.15.66B1.82M73.7839.182.1925.651.95
Hanwha Q Cells Co Ltd...HQCL2.17216.28M449,378.002.840.92-1.11na2.54
Yingli Green Energy...YGE1.07194.49M2.95M4.0350.72-1.23na2.2
SolarCity CorpSCTY62.286.03B2.85M79.445.91-0.58na
Intrepid Potash, Inc.IPI12.49951.09M557,436.0017.6410.920.2256.781.69
SunPower CorporationSPWR32.064.27B1.44M42.0722.751.0231.492.89
Applied Materials, Inc.AMAT20.1324.73B28.91M25.7118.630.9521.291.68
Canadian Solar Inc.CSIQ33.691.88B2.56M41.1218.685.016.732.97
Trina Solar Limited...TSL12.191.12B2.33M15.157.520.7416.372.42


Li Hejun, 리허쥔 회장.


Posted by 쁘레드


심각한 청년 실업

취업경험 없는 '2030 청년백수' 12년여 만에 최고치

그냥 쉬는 20대 25만명…1년새 16% 증가 바로 투입 가능한 경력직 선호 추세 영향

(세종=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취업 경험이 전혀 없는 20∼30대 청년 실업자 수가 12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취업 시장에 진출조차 못해 본 20∼30대가 그만큼 늘어나고 있다는 뜻이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20∼30대 취업 무경험 실업자는 지난달 기준 9만5천 명으로 집계됐다. 20대가 8만9천 명, 30대는 6천 명이었다.

합계치로는 카드사태가 있었던 2003년 1월(9만7천명) 이후 12년 3개월 만에 최고치다.

-------------------

다음 이슈 링크 - 심각한 청년실업

http://media.daum.net/issue/693/

-----------------

통계청 2015년 4월 고용동향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35876

▣ 2015년 4월 고용률은 60.3%로 전년동월대비 0.3%p 하락

   o 취업자는 25,900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16천명(0.8%) 증가

▣ 실업률은 3.9%로 전년동월과 동일

   o 실업자는 1,05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3천명(2.2%) 증가

   o 청년층 실업률은 10.2%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

   o 계절조정 실업률은 3.7%로 전월과 동일

▣ 경제활동참가율 62.8%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청년층과 50대 이상의 구직활동 증가로 실업자가 증가

청년층과 50대가 같은 직업을 가지고 싸우는 상황인가 봅니다. 청년층이 해야할일이 있는것이고 50대가 할수 있는 일이 있는법인데 두 시장이 겹쳐서는 좋은 나라라고 할수 없지요. 저도 50대되면 은퇴하고 좋아하는거 찾아다니고 소일거리도 찾아서 하려고 하는데, 나의 구직활동이 청년들의 일자리를 갈아먹으면 안되지요.


다행히 청년 실업률은 전달보다 낮게는 나왔는데 개절적으로 구직할동을 하기 어려운 때라 계속 높게 유지될것 같습니다. 정부도 별다른 정책도 없고요.




Posted by 쁘레드

2013년부터 매년 살모넬라 균에 중독된 사람들 이야기가 많습니다. 어른들이 갑자기 죽어도 안탁까운데 유아나 어린이들이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살모넬라 균으로 죽은 이야기가 뉴스에서 많이 보도가 됩니다. 문제는 항생제가 듣지 않는 내성이 있는 바이러스로 변이되어서 한번 걸리면 사망선고나 다름없는 일이 되어버리는것 같습니다. 식중독으로 죽을수도 있는건 사실인데, 미리 발견해도 약이 없다니...


초기 증상은 일반 식중독과 상당히 비슷합니다. 설사나 고열을 동반한다고 합니다.


결국 사람들이 값싸게 식용가축을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비인간적(?)으로 대량으로 키우기위해 개발한 항생제 용법이 두되도 없는 박테리아가 내성을 갖게끔 진화하게 한것 같네요. 물 흐름을 거스르는 것은 다시 역공을 안맞을 수가 없지요.





2015년 살모넬라 발병통계입니다. 인구가 동쪽,남쪽에 많이 몰려있으니 발병숫자도 그쪽이 많은거지만 텍사스는 아마도 고기 소비량이 많아서 인규 비율보다 발병률이 높은것 같습니다. 캘리포니아는 최근은 다 익지 않는 Tuna(참치)를 먹고 발병된 사람이 보고되고 있다고 합니다.


예방하는 방법은 다른 방법이 없고, 무조건 고기는 잘 익혀먹어야 합니다. 소고기는 안익어도 된다 이런것은 이제 안통합니다. 다 잘익혀먹습니다. 심지어 달걀도 잘 익혀먹습니다.

http://www.pbs.org/wgbh/pages/frontline/health-science-technology/trouble-with-chicken/five-salmonella-outbreaks-food-inspectors-didnt-see-coming/


아래 뉴스에는 bird flu라고 나오는데, Iowa에서는 Flu와 virus연관되서 7.8 터키와 닭이 폐기처분되었다고 합니다. 이러면 닭값고 오르고 계란값도 오르고 전체 유제품 고기값이 움직이기까지 할것 같습니다.

>Nearly 7.8 million turkeys and chickens have died or been culled since March

http://www.dailymail.co.uk/news/article-3048265/Bird-flu-takes-biggest-toll-virus-hits-chicken-farms.html

--------------

Commodities 에서 live stock, meat관련 지표를 보니 2월말부터 폭등세가 나오네요.



--------------

살모넬라

장내세균과 세균의 1속. 장티푸스균(typhoid bacillus)이나 식중독의 병원균을 포함한다.

--------------

Quick Tips for Preventing Salmonella
  1. Cook poultry, ground beef, and eggs thoroughly. ...
  2. If you are served undercooked meat, poultry or eggs in a restaurant, don't hesitate to send it back to the kitchen for further cooking.


Posted by 쁘레드

외신에서도 이건희 회장에서 아들 이재용 부회장으로 이어지는 경영 세습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이건희 회장이 건재했던 작년초에 비하면 현재의 삼성은 상당히 다른 상황임에 틀림없습니다. 아들 이재용은 아버지와 다른 성격이라고 하는데, 이건희 회장이 그렸던 2020년 삼성목표를 이재용식으로 다시 해석해서 목표를 정해야 하지않을까 생각됩니다. 이재용이 회장으로 추대될때 2030년 비전 이런 식으로 발표할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보이는 이재용 호의 방향은, 이정도가 아닐까요? 아직까지 성적을 메기기 어렵지만 아주 방향과 방법이 좋은것 같습니다.

  • 애플과의 화해와 파트너쉽, 그러면서 대놓고 따라하기
  • 주력 사업을 핸드폰에서 반도체로

기사에서는 Heir로, 즉 '상속자'로 이재용을 지칭하고 있습니다. 별로 좋은 느낌은 아닌것 같습니다.

--------

After Galaxy Smartphone Debacle, Samsung Questions Game Plan

Heir apparent is likely to rethink his father’s big-scale strategy; the iPhone 6 challenge

http://www.wsj.com/articles/after-galaxy-smartphone-debacle-samsung-questions-game-plan-1431388870





----------

South Korea’s Samsung Electronics has used its massive scale to build a broad catalog of products, from refrigerators and television sets to smartphones and semiconductors. Here, people visit Samsung’s booth at the International Supercomputing Conference in Leipzig, Germany on June 23, 2014.ENLARGE
South Korea’s Samsung Electronics has used its massive scale to build a broad catalog of products, from refrigerators and television sets to smartphones and semiconductors. Here, people visit Samsung’s booth at the International Supercomputing Conference in Leipzig, Germany on June 23, 2014. PHOTO: JAN WOITAS/EUROPEAN PRESSPHOTO AGENCY

-------------

http://kalee.tistory.com/

삼성 이재용 경영세습 최대 걸림돌은 순환출자

시평과 칼럼 2015/05/11 12:39

--------------

http://factoll.tistory.com/1193

‘이재용 삼성’ 1년… 국내 언론은 일제히 ‘찬사’, 외신은 일제히 ‘우려’


Posted by 쁘레드

미국은 고용지표만 보면 완연한 회복세입니다. 예상보다 조금 적게 늘었습니다만 좋은 상태임에는 틀림없습니다. 4월에도 실업률이 5.4%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재밌는 통계중에 하나인 Broadest measure of underemployment(광의의 실업률)은 10.8% 정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아래 빨간선. 2008년 경제위기때 17%도 넘어갔었습니다. 20% 실업률은 정말 무서운 숫자인것이죠. 그래서 양적완화를 그렇게 빠르고 무섭게 진행했었군요. Full time을 구하기 힘들어 파트타임으로 일하고 있거나 새로운 잡을 찾기에 어려운 상황에 쳐해있는 사람까지 포함한 통계입니다. 한국이라면 알바인원과 고시준비생까지 다 계산해야하는건데, 한국은 그런 통계를 본적이 없습니다. 그런 통계가 나오면 폭동이 안일어나라는 법이 없지요.


>A broad measure of unemployment, which includes workers stuck in part-time jobs and Americans too discouraged to look for work, fell to 10.8%, down from 12.3% a year earlier. 








Posted by 쁘레드

미국에서 돈많이 받는 여자 임원/경영인 순위. 연봉과 주식같은 보너스까지 포함한 금액입니다.


1위 Angela Ahrendts, $82.6M, Apple Senior VP

2위 Safra Catz, $71.2, Oracle Corp.’s Co-CEO

3위 Marissa Mayer, $59.1M, Yahoo! Inc.’s CEO


역시 애플인가요? 애플의 CEO도 아닌 Sr VP가 여자중에서는 최고로 많이 받네요. 남자들중 최고로 많이 받는 액수와 비교하면 정말 작습니다.

2위는 오라클의 공동 CEO인 Safra라는데 이름도 잘 못들어본 사람이네요. 얼굴도 모르겠고.

3위는 야후 CEO 마리사 메이어, 대부분 주식으로 많이 받는데 주식이 요즘 안좋아 평가금액이 낮다고 합니다.





남자보더 훨씬 우훨한 여자들의 사회적 위상을 보면 정말 문제입니다. 100명 리스트중에 여자는 8명있다고 합니다. 그중에 1위가 $82.M 밖에 안된다니. 그남아 미국이니까 이정도 밖에 차이안난다고 생각됩니다. 남자들은 권투만 한경기해도 $100M 씩 주는 세상인데요.


뜬금없지만, 부의 편중화가 정말 문제입니다.

상위/하위 임금격차도 커지고 있고

남녀성별 임금격차도 커지고 있고

교육수준변 임금격차도 커지고 있고

20년지나서 2015년이면 그때는 좋았지 이런 얘기 안들어야 할텐데요.


Posted by 쁘레드

미국의 위스키는 버번(bourbon)인데 그중 가장 유명한것이 Jim Beam이지요. 대중적으로 팔리는 Jim Beam은 돈없는 젊은층에서 많이 마시고요, 물론 돈없는 장년층도 많이 마시겠지요, 돈많으면 안마신다는 것은 아니니 오해마시길. 전에 TV에 Jim Beam공장인지 예쁘 여배우가 투어하는걸 봤는데, Jim Beam에서 나오는 상당히 비싼술도 많더라고요. 1.5 리터에 30불하는 그것만 파는줄 알았지요.


작년에 일본 기업인 Suntory에 인수가 됐다고 하네요. 선토리? 싼토리? 어디서 들어본것도 같은... 이 기사에 상당히 재밌는 통계가 있습니다.

우선 Jim Beam 판매량이 늘고 있지만 증가량이 둔화되고 있습니다. 2009년 부터 몇년간 판매량이 급속도로 는것은 아무래도 경제가 안좋다 보니 싼술로 여겨지는 짐빔을 많이 마시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Top Whiskey Brand에 대한 통계가 나오는데 조니 워커(Johnnie Walker)가 압도적 1위입니다. 제가 마신 양도 꽤 될듯. Jack Daniel도 상당히 큰 회사네요. 박정희가 좋아했던 Chivas Regal(시바스 리갈)도 5위나 하고 있습니다. 박정희가 좋아했다는 것이 판매에 도움이 됐을까요? 저도 개인적으로 치바스 리갈 좋아합니다.






http://www.wsj.com/articles/jim-beams-new-owner-mixes-global-cocktail-1430706656

Posted by 쁘레드